중문단지 내 호텔 건축 과정에서 각종 혜택 받아

[스페셜경제] 부영이 현재 제주도에서 특혜 논란에 휩싸이고 있다. 먼저 “경제적인 이익을 위해 세계적 건축가의 유작인 ‘카사 델 아구아’ 철거를 요청했다”는 의혹으로 제주도민들의 지탄을 받고 있다. 여기에 중문단지 내 앵커(부영)호텔 건축 과정에서 설계를 임의로 변경했다는 의혹과 함께, 엄청난 세제혜택도 받고 있다는 지적이다.


세계적 건축가 작품 철거 왜?
카사 델 아구아는 건축계의 노벨상이라 불리는 프리츠커상 심사위원을 10년 넘게 맡은 세계적 건축가 리카르도 레고레타의 유작이다. 아시아에선 그의 작품 중 유일하게 내부까지 공개된 작품이라 건축계에서 상당한 가치를 지닌다. 그런데 이러한 세계적인 작품이 왜 철거된 것일까?
지난 2003년 제주도가 완공한 제주국제컨벤션센터는 국제회의 및 행사를 유치하기 위해 숙박시설이 의무적으로 필요했다. 이에 제주도는 지난 2005년 홍콩 타갈더그룹과 ‘제주컨벤션센터 앵커호텔’ 건립을 위한 계약을 체결했다. ‘앵커호텔’은 중문관광단지 2단계(동부)지구 5만3354㎡의 부지에 2400억원의 사업비가 투입될 예정이었다.
▲ 지난 3월 6일 제주도 중문관광단지 내 지어진 멕시코의 건축 거장 리카르도 레고레타의 유작인 '카사 델 아구아'가 철거되고 있는 모습.
타갈더 그룹도 현지 법인인 JID를 만들고, 지난 2006년 부지대금을 치르며 금호산업을 시공사로 2007년 6월 시공에 들어갔다. 하지만 금호산업의 워크아웃과 JID의 자금난이 맞물리면서 2010년 1월 공정률 50%에서 공사 중단된 채 1년여 이상을 흉물스럽게 방치됐었다.
그리고 2011년 10월에 ‘부영주택(주)’이 새로운 사업자로 선정됐다. 그런데 호텔 부지를 인수하는 과정에서 부영이 건축물인 ‘카사 델 아구아’ 제외했고, 이때부터 문제가 커지기 시작했다.
부지는 부영이 카사델 아구아 건물 소유권은 JID가 그대로 가지는 아이러니한 상황이 발생한 것이다. 부영은 부지의 소유자로 건설이 중단된 앵커호텔을 완공하기 위해 ‘카사 델 아구아’의 철거를 주장했다. 철거 반대 측에서는 부영의 전향적인 자세를 촉구했지만 부영측은 자신들의 뜻을 굽히지 않았다.
이에 제주도의회 의원과 문화단체 등으로 구성된 ‘카사 델 아구아 철거반대 비상대책위원회’는 올해 1월 기자회견을 열어 “(부영은) 투자진흥지구 지정에 따른 혜택은 다 누리면서 문화적 가치가 높은 카사 델 아구아 철거에 앞장서는 등 이윤만을 쫒는 악덕기업의 모습을 적나라하게 보여주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처럼 비난 여론과 법적 분쟁, 그리고 ‘카사 델 아구아’의 이전 복구 대책 마련 등 우여곡절을 거치며 올해 3월 결국 ‘카사 델 아구아’는 철거됐다. 그리고 현재 ‘카사 델 아구아’의 이전 복구대책은 3개월이 지난 현재까지 여전히 불투명한 상황이다.
이에 대해 부영 관계자는 “‘카사 델 아구아’는 애초에 한시적인 가건물로 지었기 때문에 내버려두었으면 오히려 부식이 된다. 그리고 호텔의 조망권을 침해하고 있었다”며 “실제 논란이 돼서 설계자의 아들이 와서 직접 확인하고 돌아갔다. 실제로 설계자의 메인 작품은 카사 델 아구아가 아니라, 앵커호텔”이라고 항변했다.
부영, 제주도서 승승장구
호텔 건축과정에서도 부영은 ‘특혜’의혹에 시달리고 있다. 제주도내 모 대학교수는 신문 칼럼에서 “얼마 전 제주특별자치도 건축위원회에서, 건축위원회를 주관하는 관련 공무원이 앵커호텔(부영호텔)의 외장재료 변경 건에 대해, 이를 ‘경미한 사항’으로 보고 건축심의에 상정하지 않을 수 있다는 취지의 발언을 했다는 것이다. 위원들이 판단할 문제를 관련공무원이 판단해서 통보하는 상황이 된 것”이라고 전했다.
특히 “앵커호텔이라도 제대로 지어야 하는데 부영주택은 건축심의도 받지 않고 ‘마음대로’ 설계를 변경해 짓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어 “일반도민은 방 두개짜리 지붕재료나 색채변경도 건축심의를 통해 재심이나 불허하면서 방 600개짜리 호텔은 봐준다면 그 어떤 도민이 납득할 수 있을까. 건축심의를 받는 도민은 멍청하거나 바보가 되는 건가. 힘없는 도민은 안 봐주고 돈 많은 재벌은 봐주는 제주도정을 도민이 믿을 수 있을까”라며 한탄했다.
‘카사 델 아구아 철거반대’ 비대위 역시 “호텔입구의 외부형태가 변경되고 외부마감재를 샌드스톤에서 카파오석으로 변경했는데, 변경 시공하기 위해서는 조례에 따라 ‘심의’를 얻어야 함에도 이 같은 절차가 무시됐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부영 관계자는 “앵커호텔의 설계는 외벽만 조금 달라진 수준이다. 내구성에 문제가 있어서 대리석 형태로 바꿨다”며 “특혜는 전혀 없다”고 반박했다.
여기에 부영이 앵커호텔을 건립하는 과정에서 엄청난 액수의 면세혜택을 봤다는 주장도 제기됐다. 비대위는 “그동안 ‘제주의 땅부자’라는 부영에게는 앵커호텔을 부영호텔로 명칭을 바꿔주고 투자진흥지구로까지 지정·변경하면서 267억원이나 되는 세금혜택까지 퍼주고 있는데 이에 대해 분노를 금할 수 없다”고 비판했다.
실제로 부영은 부영리조트와 앵커호텔에 이어 부영호텔 2·3·4·5, 부영 랜드, 청소년수련원 등이 투자진흥지구로 지정돼 총 1800여억 원의 세제혜택을 누리며 제주도에서 승승장구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한편, 특혜논란이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부영의 기숙사 건립과 관련해서도 ‘선심성’이 아니냐는 뒷말이 무성하다.
박희수 제주특별자치도의회 의장은 지난 11일 오후 2시 제주도의회 제307회 임시회 개회사를 통해 “도지사께서 모 고등학교 동문회 행사에 참석해 부영이 서귀포 소재 모 고교에 기숙사를 지어주기로 했다며 ‘선물’을 드린다는 말을 했다는 소식도 들린다”고 얘기했다.
제주도의회 이선화 의원 역시 지난해 12월 26일 오후 제302회 임시회 제2차 본회의에서 5분 발언을 통해 “일각에서는 ‘제주도와 토지주인 부영이 무슨 관계가 있다’, ‘제주도가 부영의 대리인이냐’는 말들이 끊임없이 나오고 있다”며 “제주의 땅 부자 부영은 과거 중문과 같은 좋은 위치의 공유재산을 아주 싼값에 제주도로부터 매입해 특혜 논란에 휩싸인 적이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부영 관계자는 “회사 설립 이후부터 사회공헌 차원으로 전국 130여 곳의 지역에 기숙사, 노인정, 체육관 등을 지었다. 우리가 계속 해오고 있는 사업”이라고 말했다.
또 제주도와의 관계에 대해 아무런 특혜 없이 그저 ‘발전적인 파트너십’을 위해 노력 중일 뿐이라고 강조했다. 부영 관계자는 여기에 “앞으로 우리는 제주도의 발전을 위해 많은 공헌을 할 것이다. 제주도에서 골프장·기타 시설이 들어서는 큰 프로젝트를 맡았다. 올 초에 구체적인 플랜을 발표했다. 제주시민에게 들어가는 ‘돈’이 많아질 예정”이라고 설명했다./사진=뉴시스
저작권자 © 스페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