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프회원권 과다 보유 등 국감서 지적

[스페셜경제] IBK기업은행(행장 조준희, 이하 기업은행)이 방만경영 논란에 휩싸이고 있다. 감사원과 국정감사의 수차례 반복된 지적에도 불구하고, 시정되지 않고 있다는 얘기가 나오고 있는 것이다. 국책 금융기관임에도 불구하고 과도한 골프·콘도 회원권을 보유하고 있다는 지적과 함께, ‘꺾기영업’도 도마에 오르기도 했다. 여기에 자회사 관리도 제대로 못했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이에 따라 업계 일각에서는 조준희 행장의 리더십에 대해 의구심을 제기하고 있다.


우선 국책은행인 기업은행은 ‘골프·콘도 회원권’ 등을 과도하게 보유했다는 이유로 여야 의원들의 질타를 받아왔다. 의원들은 수억원을 웃도는 골프장 회원권이 중소기업을 지원하기 위해 설립된 국책은행의 이미지하곤 거리가 먼 탓에 해마다 국감의 지적 대상에 올렸다.


‘국책은행’ 인데…


2011년 국회 정무위 소속 배영식 한나라당(현 새누리) 의원의 지적에 따르면, 기업은행은 전국 18개 골프장의 회원권 32개를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같은 국책은행인 산업은행, 수출입은행과 비교하면 최소 5배에서 최대 8배에 달하는 수치일뿐더러, 장부가격으로 환산하면 139억원(2011년 시세)에 달해 우리은행이 갖고 있는 골프장 회원권 액수 10억원 보다 14배 가량 많다.


전국에 걸쳐있는 골프장 회원권 중 눈에 띄는 것은 경기 여주의 렉스필드, 경기 파주의 서원밸리, 경기 용인의 신원CC와 아시아나 등이다. 1곳당 7억~10억원(장부가격)을 호가하기 때문에 수도권 골프장에서도 비싸기로 소문이 나 있다.


현재까지 알려진 바에 의하면, 골프장 외에도 지난 2002년 이후로 기업은행이 사들인 스포츠, 콘도 등 각종 회원권이 수백억원 대에 달한다.


이에 당시 정치권과 시민사회에선 국책은행 기업은행이 골프 등 접대비용으로 이익을 탕진하는 것이 아니냐는 비판이 잇따랐다.


정무위 관계자는 “국책은행이 이익이 나면 경제적 소외계층에게 혜택이 돌아가도록 해야 함에도 불구, 과도한 골프회원권 등을 접대비용에 사용해 염려스럽다”고 지적했다. 이같은 ‘골프회원권 과다 보유’논란과 관련해 기업은행 관계자는 “상업은행이기 때문에 시중은행과 경쟁하기 위해선 영업접대가 필요하다”며 “비교된 수출입은행 등과는 규모면에서 차이가 있다”라는 입장을 밝혔다.


이밖에도 지난해 국회에서는 기업은행의 이른바 ‘꺾기(대출을 위한 반강제적 예금 가입)’ 영업의 실태를 주목했다.


기업은행이 시중은행 사이에서 두 번째로 많은 꺾기 영업을 실시했다는 의혹이 제기돼 2010년 은행법 개정 이후 금융당국의 예방 및 근절 노력을 무색하게 만든 것이다.


정무위 소속 유일호 새누리당 의원에 따르면, 2011년 1월 이후 금융당국에 적발된 꺾기 금액의 비중을 보면 기업은행이 97억원에 해당하는 230건으로 KB국민은행(135억원・600건)에 이어 두 번째로 많았다. 특히 중소업체 사업주들이 기업은행에 대출을 하러 갔다가 꺾기를 강요받았다는 의혹도 제기됐다.


이에 유 의원은 “기업은행이 국책은행으로서 중소기업에 대한 효율적인 신용제도를 확립해야 하는데 그렇지 못한 것 같다”며 빠른 시일 내 문제 해결을 촉구했다.


기은 관계자는 꺾기영업에 대해서 “지난해부터 컴퓨터 시스템으로 관리해 이를 금지하고 있다”며 “꺾기 영업은 원칙적으로 할 수 없게 됐다”고 전했다.


자회사 관리 ‘엉망’…“모니터링 강화해야”


꺾기영업과 국책은행으로서의 자질 논란 외에도 기업은행이 관리하는 자회사들의 경영상태 또한 엉망이라는 지적이다.


기업은행은 현재 IBK캐피탈・투자증권・연금보험・자산운용・시스템・신용정보 등 총 6개의 자회사를 두고 있다. 그런데 이들 중 IBK투자증권과 IBK캐피탈의 사업방향이 지난해 감사원으로부터 ‘부적정’ 통보를 받았다.


감사원은 기업은행이 자회사를 설립할 때 중소기업 지원과 직・간접적으로 관련이 있는 업무를 수행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무관한 사업을 무리하게 추진해 손실을 초래했다고 지적했다.


감사원 자료에 따르면, 기업은행은 금융투자회사인 IBK투자증권의 리테일 사업부문이 중소기업 지원과 직접 관련이 없음에도 주요 수익원이 될 것이라 판단, 향후 손익을 제대로 분석하지 않은 채 대규모로 지점을 설립했다.


특히 타 증권사보다 배가 넘는 지점을 개설해 자회사의 경영손실을 키웠을 뿐더러 대책 마련에도 소홀했다. 때문에 투자증권은 2008년 설립 이후 2011년 2분기까지 825억원의 영업손실이 발생, 오는 2014년까지 722억원의 추가손실을 감당해야 할 지경에 이르렀다. 같은시기 고유자산 운용 사업부문에서 올린 662억원의 순이익이 말짱 도루묵이 된 것이다.


감사원은 자료에서 기업은행이 자회사와의 업무 협력에 미흡함을 보인단 점도 함께 지적했다. 중소기업의 퇴직연금 사업을 전문으로 하기위해 신규설립한 자회사 IBK연금보험이 기업은행과의 협력방안 수립에서 실패해 당초 계획이던 적립금 2000억원은 커녕 43억원의 손실을 기록하게 만들었기 때문이다.(기준 2010년 설립 후 2011년 말)


이에 감사원은 기업은행의 수장, 조 행장에게 “자회사의 관리 업무를 철저히 하고, 수익성 제고를 위한 경영 합리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며 “경영 모니터링을 강화하는 등 자회사 경영에 대한 상시 관리시스템을 내실화해야 한다”고 통보했다.


이에 대해 기업은행 관계자는 “신생 자회사이므로 현재 상태를 단정 짓기는 이르다”며 “곧 흑자 전환될 것이므로 지켜봐 달라”는 입장이다.


오는 12월 27일. 마지막 임기까지 6개월여를 앞둔 조준희 행장. 앞서 제기된 산적한 난제들을 어떻게 해결해 나갈지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


저작권자 © 스페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