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경제=선다혜 기자]정부의 탈원전 기조에 발맞출 경우 오는 2040년까지 전체 발전량에서 원자력이 차지하는 비중이 17.3%까지 떨어질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지난해 기준으로 전체 발전량에서 원자력이 차지하는 비중은 26.8%였다.


다만, 이처럼 원자력 비중이 줄어들기 위해서는 더 이상 원전을 건설하지 않고, 수명연장도 하지 않는다는 기조가 이어져야 한다. 이렇게 될 경우 현재 24기인 원전은 2035년에는 14기까지 줄어든다.


4일 ‘제3차 에너지 기본계획 워킹그룹’에 따르면 2040년에 전체 에너지 사용량 가운데 원자력발전이 차지하는 비중은 17.3%로 감소한다. 지난해 기준 26.8%인 의존도가 대폭 낮아지는 것이다. 학계?시민사회단체, 산업계의 에너지 전문가 75명으로 구성된 워킹그룹은 수개월간 논의를 거쳐 17.3% 숫자를 도출했다.


또한 워킹그룹은 정부가 지난해 발표했던 ‘2030년까지 원전 11기 폐지’ 계획에서 한 발 더 나갔다. 앞으로 폐로해야 할 원전을 더해 2040년에 14기 이하로 운영하는 계획을 세웠다. 이렇게 되면 한국의 원전 의존도는 OECD 국가와 비교해도 상당히 낮은 수준이 된다. 글로벌 에너지 기업 BP가 지난 8월 발간한 ‘2018 세계 에너지 통계 보고서’에 따르면 OECD 회원국의 평균 원전 비중은 17.8%에 달한다.


문제는 원전이 이렇게 축소되면 발전소가 들어섰던 지역경제에 큰 타격을 입힌다는 것이다. 단기적으로는 큰 영향을 받지 않겠지만, 원전이 본격적으로 줄어들기 시작하는 2023년 이후 세수?일자리 감소는 필연적으로 이뤄질 수밖에 없다.


현재 고용시장에서 원전 종사자는 올해 기준으로 3만 8810명으로 추산되고 있다. 하지만 원전이 줄기 시작하는 2025년부터는 하향곡선을 그려서 2030년 3만 명 아래로 떨어질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렇게 될 경우 지역경제가 입는 타격도 만만치 않다. 실제로 경북 울진구의 경우 2016년 거둬들인 지방세 가운데 원전에서 낸 것이 63.6%를 차지하고 있으며, 지역의 전체 일자리 가운데 원전과 연관된 일자리 비중도 약 13.8%에 달한다.


그 정도로 지역사회가 원전사업에 기대고 있는 부분이 크다. 때문에 지역사회의 일자리 문제를 고려하지 않고 무조건 탈원전에만 초점을 맞출 경우 지역경제가 흔들릴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저작권자 © 스페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