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경제=선다혜 기자]지난해 5월 문재인 정부가 출범하기 무섭게 가장 먼저 찾았던 곳은 인천국제공항이었다. 당시 문 대통령은 인천국제공제 공항 비정규직 근로자들을 정규직으로 전환할 것을 요구했다. 이에 따라서 인천국제공항공사 측은 즉각적으로 1만명가량의 비정규직 노동자들을 모두 정규직으로 전환하겠다고 밝혔다. 61개 파견·용역업체 소속의 비정규직 근로자들이 환영의 뜻을 내비췄다.


그러나 1년 6개월이 지난 지금 여전히 ‘인천공항공사의 비정규직 문제’는 그대로인 것으로 드러났다. 비정규직 근로자 가운데 정규직으로 전환된 이들이 ‘0명’인 것이다.


지난 3일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지난해 인천공항공사 측이 정규직으로 전환하겠다고 확정한 비정규직은 9785명이었다. 당시 노사전문가협의회가 심의해 최종 대상자를 결정했었다. 하지만 지금까지도 정규직으로 전환된 노동자는 없는 상황이다. 다만 인천공항운영관리노동조합 측은 파견·용역업체와의 계약이 끝난 2100여명만이 인천공항 공사의 임시 자회사 소속으로만 자리를 옮긴 것으로 확인됐다.


이에 대해 이경재 인천공항운영관리노조 수석부위원장은 “임시 자회사에 소속된 이들의 월급은 이전과 같고 처우도 개선된 점이 없다”고 주장했다.


그렇다면 왜 정규직으로 전환되지 못하고 있는 것일까?


우선 가장 큰 문제는 인천공항공사 측이 경쟁력 약화를 우려한다는 점이다. 인천공항공사는 14년 연속 흑자를 발판으로 ‘12년 연속 공항서비스 부문 세계 1위’라는 기록을 세운 바 있다. 이런 상황에서 약 9800여명에 달하는 인력을 정규직으로 전환시킬 경우, 인건비 등으로 인해서 경영악화 등의 문제를 야기시킬 수 있다.


특히 갑작스러운 정규직 전환으로 발생할 수 있는 재정부담이 서비스 질 하락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 때문에도 섣부르게 움직이지 못하는 상황인 것이다.


아울러 노사가 협의 과정에서 시한을 정하지 않은 것도 즉각적인 정규직 전환이 이뤄지지 않은 이유 가운데 하나다. 노사가 지난해 8월 노사전문가협의회를 구성하고 협상을 진행한 끝에 지난해 12월 26일 결론을 이끌었다. 정규직 전환 대상자 가운데 3000명은 ‘인천공항공사의 직접 고용’, 나머지 7000명 정도는 ‘자회사 설립을 통한 고용’으로 합의했다.


하지만 언제까지 고용을 한다는 시점은 못 박지는 않은 상황이다. 용역·파견 노동자마다 계약기간이 다른 문제가 영향을 미친 것이다. 그만큼 구체적인 임금·처우 협상도 지지부진해졌다. 뿐만 아니라 여기에 기존 정규ㅈ기 노조와 비정규직 노조 사이에 노노 갈등도 불 붙었다. 앞서 지난 6월 정규직 노조 측은 동일한 입사 과정을 거치지 않고 정규직으로 전환되는 게 옳으냐며 불만을 제기한 바 있다.


저작권자 © 스페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