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부문 비정규직 정규직 전환, 파견?용역 근로자 절반이 자회사行

무분별한 자회사 전환, 노사 합의 없는 일방적 진행 등 정부의 기본 원칙에 어긋나


[스페셜경제=박고은 기자]한국도로공사, 한국잡월드, 강원랜드 등 일부 기관들이 노사 간의 합의 없는 사측의 일방적인 자회사 설립 진행으로 사측과 노동자들 간에 갈등을 겪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공공서비스의 질을 제고하고 정규직 고용관행을 민간에 확산시키기 위해 문재인 정부가 공공부문 비정규직 제로를 선언했지만 본래 취지와는 달리 공공기관에 직접고용이 아닌 이처럼 정규직 전환 방식을 자회사로의 전환을 통한 형식으로 하고 있는 것이다.


더불어민주당 환경노동위원회 이용득 의원이 공공부문 정규직화 1단계 전환 대상이 되는 중앙행정기관, 교육기관, 중앙부처 산하 공공기관, 지방공기업 등 637개 기관으로부터 자료를 제출받아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자회사 설립을 통해 정규직 전환을 진행했거나 추진하고 있는 기관은 9월 말 기준 공공기관과 지방공기업 37개소였다.


이 중 중앙부처 산하 공공기관 334개소를 중심으로 살펴보면 전체의 10%에 해당하는 33개소에서 자회사 설립을 통해 정규직 전환을 진행했거나 추진 중이었으며 그 규모는 3만 2514명이었다.


‘공공부문 정규직 전환 가이드라인’에서 직접고용을 원칙으로 정한 기간제 근로자들을 제외하고 정규직 전환이 결정된 중앙부처 산하 전체 공공기관의 파견·용역 근로자는 5만 9470명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전체의 54.7%가 자회사 형태로 정규직 전환이 이루어지고 있는 셈이다.


특히 한국도로공사, 한국잡월드, 강원랜드 등 일부 기관의 경우 노사 간의 합의 없는 사측의 일방적인 자회사 설립 진행으로 사측과 노동자들 간에 갈등을 겪고 있다.


때문에 공공부문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이 ‘충분한 노사 협의를 바탕으로 일자리의 질을 개선하는 방향으로 진행돼야 한다’는 정부의 기본 원칙이 제대로 지켜지지 않고 있다는 지적이다.


아울러 여전히 전환 규모와 방식 등이 확정되지 않은 채 협의가 진행 중인 기관이 많다는 점에서 자회사 방식으로 정규직 전환을 진행하는 공공기관 수와 근로자의 규모는 보다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이 의원은 “정규직 전환의 기본 취지는 비정상의 정상화를 통한 비정규직의 고용안정과 처우개선임에도 자회사로의 전환이 남발되고 있다”며 “문재인 정부의 공공부문 비정규직 정규직화의 기본철학에 부합하는 방향으로 가고 있는지 돌아봐야 할 것”이라고 주문했다.


한편 자회사를 통한 정규직 전환을 진행하는 공공기관 가운데 규모가 가장 큰 기관은 6845명을 자회사 방식으로 전환하기로 결정한 인천국제공항공사였으며 한국철도공사(5256명)와 한국전력공사(5200명)가 그 뒤를 이었다.


부처별로 구분하면 산업통상자원부와 국토교통부 산하의 기관이 각각 8개로 자회사를 설립하기로 한 공공기관의 절반을 차지했다.


저작권자 © 스페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