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경제=선다혜 기자]내년 글로벌 결기 개선 흐름이 기대되는 가운데, 교육 증가율은 올해보다 다소 둔화될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됐다. 특히 미국, 중국 등 주요국 보호무역주의 정책 기조가 더 강화될 가능성이 높아, 수출지역 다변화 등 대응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24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글로벌 교역 여건 점검 및 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내년에도 글로벌 경기개선으로 교역이 회복세를 지속하겠지만 중국의 소비 중심 성장구조 전환, 보호무역 확산 등 구조적 제약요인으로 금융위기 이전 수준의 증가세를 회복하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국제통화기금(IMF)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 따르면 글로벌 교역 증가율은 올해 4.2%~4.8%로 내년 4.0~4.1% 수준으로 다소 하락할 것으로 보인다.


세계 수출 증가율이 3% 수준이었던 2014~2016년도에 비해서 올해가 오른 이유는 유럽, 미국 등 선진국 경기 회복과 국제원자재 가격 상승으로 브라질, 러시아, 사우디 등 자원수출국 경기가 개선된 영향이 컸다는 분석이다.


실제로 올해 1~9월 중국 등 신흥국 교역탄성치(교역증가율/GDP성장률)가 1.54로 전년동기(0.12)와 비교해 대폭 상승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와 관련해서 한은 관계자는 "통상 교역탄성치는 경기상승기에 증가하는데 금년 들어 신흥국을 중심으로 큰 폭으로 확대됐다"고 설명했다.


한편, IMF는 내년 세계 교역탄성치를 1.09%로 전망했다. 1.15%였던 올해에 비해서는 소폭 낮아졌지만 1을 넘어 건조한 수입 소요는 유지될 것으로 본 것이다.


한은은 앞으로 글로벌 교역량 증가율을 제약하는 원인으로 ▲글로벌 생산분업 확장세 둔화 ▲중국 성장전략 변화(수출?투자→내수·소비) ▲보호무역 확산 등을 꼽았다.


더욱이 미국, 중국 등 주요국이 반덤핑이나 상계관세 등 규제 조치를 꾸준히 늘린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고 봤다.


<사진제공 뉴시스>


저작권자 © 스페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