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경제=이현정 기자]도널드 트럼프(Donald Trump)가 대통령에 당선되자마자 포드와 애플 등의 기업들에 대한 전방위 압박에 나서고 있다.


트럼프의 이같은 압박에 에어컨 제조업체 캐리어(Carrier)는 인디애나 주의 공장을 멕시코로 이전하려던 당초의 계획을 철회하며 대신 향후 10년간 총 700만 달러 규모의 세금 감면 혜택을 받기로 결정했다.


특히 캐리어의 모회사 유나이티드테크놀러지스(United Technologies)는 총 매출의 10%인 560억 달러(약 65조원)의 수익이 국방부 사업 수주와 관련이 있는 상황이라 트럼프의 방침에서 자유로울 수 없는 입장이다.


트럼프는 4일(현지시간) 캐리어 이외에 해외로 공장을 이전하려는 다른 기업을 향해 “그에 상응한 보복과 그 대가가 없다고 생각한다면 오산”이라며 해외로 공장을 이전하려는 계획을 철회하지 않을 경우 '징벌적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으름장을 놓았다.


앞서 그는 지난 6월 멕시코로 공장을 이전하려는 자동차 제조회사 포드에게 “45%의 징벌적 관세를 매기겠다”는 경고를 한 바 있다.


중국 등 해외에 생산기지를 둔 기업들도 트럼프의 타깃이 돼 대통령 선거기간 중에도 트럼프는 해당 기업들에게 해외공장을 미국 내로 들여올 것을 강력히 주문했다. 그 중 특히 집중 타깃 대상이 된 애플은 맹렬한 비난을 받아야 했다.


이에 애플은 지난 6월 아이폰 위탁생산업체인 대만의 폭스콘 등에 아이폰 생산공장의 미국 이전을 검토해달라는 요청을 넣어 폭스콘은 대통령 당선 이후 공장 이전을 위한 예비회담을 본격적으로 진행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때문에 지난 2010년 오바마 대통령 집권 당시 애플에 해외 공장 이전을 요청했을 때 당시 CEO였던 스티브 잡스(Steve Jobs)가 단박에 거절했던 것과 비교되고 있다.


트럼프의 기업 압박은 이에 그치지 않고 애플의 아이폰 암호 정책에도 미쳤다. 지난해 12월 샌 버나디노에서 발생한 총기테러에서 14명이 사망하자 미연방수사국(FBI)은 테러범이 사용하던 아이폰에서 범죄단서를 찾아내기 위해 애플 측에 해당 아이폰의 암호화 잠금해제를 요청한 바 있다. 당시 법원도 FBI의 손을 들어 줬다.


하지만 애플은 “FBI의 요구는 ‘마스터 키’를 만들어 달라는 것과 다름없고, 이 요구를 들어주면 중국과 러시아 같은 다른 국가들에서도 똑같은 요구를 해올 것”이라며 보안상의 이유를 대 FBI 요청과 법원의 명령을 거부한 바 있다.


이에 트럼프는 “아이폰을 사용하지 않겠다. 아이폰 불매운동(보이콧)을 전개하겠다”며 애플에 맹비난을 퍼부었다. 하지만 애플은 입장을 고수했고, FBI는 결국 이스라엘의 한 보안업체의 도움을 받아 아이폰의 암호 잠금해제를 풀 수 있었다.


그런데 트럼프가 당선된 것이다. 때문에 업계에서는 이후에도 애플이 아이폰 암호 정책을 계속 유지할 수 있을지에 주목하고 있다. 트럼프는 당선 이후 애플의 아이폰 암호화 잠금해제에 대해서는 현재 별다른 표현을 하지 않고 있다.


뉴욕 맨해튼 지방 검사 사이러스 밴스(Cyrus Vance)도 최근 “범죄수사에 용이하도록 모바일 기기나 운영체제를 만드는 회사에 암호화 해제를 강제하는 연방입법이 시급하다”며 정부기관에 비협조 적이었던 애플의 태도를 비판하고 나섰다. 밴스 검사는 애플이 암호를 풀어달라는 요구에 응하지 않은 것 때문에 뉴욕주에서만 압류된 아이폰과 아이패드의 수가 2014년 10월 이후 423대에 달한다고 설명했다.


한편 정치권과 업계 일각에서는 트럼프가 자신의 정책 실현을 목적으로 기업의 팔 비틀기를 계속할 경우 자본주의 경제체제에서 민간기업의 경영권 침해가 심각한 문제로 떠오를 수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사진제공=뉴시스)


저작권자 © 스페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