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측, 파업 노조에 억대 손배소
노조, "상상 못할 금액..노조 활동 방해 목적"

▲ 9일 김남진 민주노총 전국금속노동조합 대전충북지부 일진다이아몬드지회 수석부지부장이 서울 마포구 도화동 일진그룹 본사 앞에서 피켓을 들고 시위를 벌였다.

 

[스페셜경제 = 원혜미 기자] 일진그룹 계열사인 일진다이아몬드 노동자들이 회사측의 손해배상 청구로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다.  

 

김남진 민주노총 전국금속노동조합 대전충북지부 일진다이아몬드지회 수석부지부장은 9일 오후 12시 서울 마포구 도화동 일진그룹 본사 앞에서 피켓시위를 벌였다. 피켓에는 ‘노조혐오·파괴를 즉각 중단하라’, ‘노조 포기 협박 8억2000만원 손해배상 청구 철회하라’, ‘노동자를 죽음으로 내모는 손해배상 가압류 철회하라’는 문구가 적혀 있었다. 

 

앞서 노조는 지난해 6월부터 11개월간 전면파업을 벌였다. 이전에 겪었던 불합리한 노동 현실을 꼭 바꿔야 한다는 분노와 결심에서다. 이들이 투쟁을 벌이는 배경에는 △장시간 최저임금 △위험한 작업 환경 △직장 갑질 등에 대한 불만이 작용했다고 노조 측은 설명했다.

 

노사는 같은 해 2월 1차 교섭을 시작으로 수십 차례 교섭을 이어왔지만 타협점을 찾지 못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 과정에서 조합원에 대한 형사고소와 손배가압류가 더해진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관련해 김 수석부지부장은 본지와 만나 “회사가 저희 파업이 정당하지 않다고 보고 손해배상 청구를 했는데 최근에 금액을 더 늘렸다”며 “11억 가까이 올린 것으로 알고 있다”고 한탄했다.

이어 “11억은 저희 노동자들이 감히 상상할 수 없는 금액”이라며 “회사가 저희 노동자들이 조합 활동을 하지 못하도록 압박·부담을 주게 하려는 의도, 목적으로 판단된다”고 주장했다.

그는 “회사가 저희가 회사 복귀하고 나서 다시 잘 하자는 의미로 징계를 내리지 않고 이런 손해배상도 철회하면 좋겠지만 그렇지 않았다”면서 “간부 21명과 조합원 20명 총 41명에 대해 정직 최대 3개월, 감봉 최대 6개월, 견책 등의 징계를 내렸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저희 동의 없이 갑자기 설치된 CCTV를 가리거나 훼손해도 감봉 1개월의 처분이 내려진다”라고 힐난했다.

“노동자의 동의 없이, 원래 없었던 CCTV가 조합이 생기고 나서, 파업 기간에 저희를 감시하고자 거의 현장 안팎으로 사각지대 없이 50대 가까이 달아놨다”고 강조한 김 수석부지부장은 “저희는 동의한 적도 카메라를 달라고 한 적도 없다”며 목소리를 높였다.

그는 “오늘 주차장에 주차하는 것을 두고도 언쟁이 있었다”며 “여기(회사)서 왜 여기(회사 주차장)에 주차를 않다가 오늘 또 주차했냐면서 차를 옮기라고 지시했다”고 토로했다.

이어 “저희는 비용을 절감하고자 옆에 있는 공영주차장을 자주 이용하긴 했지만, 그전에도 여기 회사 주차장에 주차를 가끔씩 했었다”며 “주차한다고 해서 주차비를 안 받는 것도 아니고여기 입장은 저희가 피케팅 하러 온 사람들이고 자기네들 보기 안 좋으니까 위에서 시켰다”고 했다.

그러면서 “매주 월요일, 수요일마다 저희가 부당하다는 것을 알리기 위해 피케팅을 한다”며 “사건이 마무리돼서 재판이 끝날 때까지 피케팅을 진행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날 함께 피켓 시위를 벌인 송민영 금속노조 전략조직부장 역시 “우리나라가 최저임금법 개정을 하면서 겉으로 드러나는 금액은 올라간다”며 “상여금이든 뭐든 이전까지 최저임금 산입범위에 들어있지 않던 것들을 최저임금으로 묶어서 최저임금이라고 할 수 있게끔 했다”고 꼬집었다.

이어 “포함되지 않았던 상여금을 기본금에 포함시켜서 기본급이 좀 늘어난 것처럼 겉으로 볼때는 그런 착시효과가 있다”면서도 “원래 받던걸 못 받는 거니까 사실상 임금 동결 내지는 임금 삭감인 상황이었는데 그게 몇 년 동안 이어졌던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임금도 중요하지만 일진 다이아몬드 노동자들이 금속노조와 처음 상담했을 때 휴대폰을 현장에서 통제당한다고 애기했었다”며 “임금도 중요하지만, 회사가 일하는 사람들을 낮게 보고 있다는 게 아닌가 싶다”고 말했다.

송 전략조직부장은 “적어도 노사 간의 대등한 선은 맞춰야 될 것 아니냐”며 “여전히 우리는 그 선을 온전히 못 넘었다는 게 아쉽다”고 덧붙였다.

 

그러나 일진그룹 관계자는 이와 관련해 본지와 통화에서 “잘 모른다”고만 답했다.

 

스페셜경제 / 원혜미 기자 hwon611@speconomy.com 

 

저작권자 © 스페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