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경련 ‘전기차 시장 글로벌 동향 및 시사점’ 보고서
연평균 20% 이상 성장…2030년대 후반 내연기관차 추월
충전인프라·해외 자원개발·보조금 등 국가 지원 필요

 

[스페셜경제=변윤재 기자] 정부가 2025년까지 수소·전기차를 133대로 늘리고 내연기관 차의 비중을 낮춰 5명 중 1명이 수소·전기차를 선택하도록 한다는 ‘친환경 미래 모빌리티 보급 확대 방안’을 내놓았다. 

 

그린 뉴딜의 8대 추진과제로 진행되는 해당 방안을 통해 미래차 대중화를 연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서는 전기차 기술과 관련 인프라 경쟁력 확보가 전제돼야 한다. 

 

이와 관련, 주유소, 주차장, 공동주택, 직장 등 충전 수요가 많은 곳에 민간사업자의 충전인프라 투자를 유도해야 한다는 제언이 나왔다.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은 17일 ‘전기차 시장 글로벌 동향 및 시사점’ 보고서를 통해 “수요자 맞춤형 충전인프라를 확충하고, 배터리 원재료 수급안정을 위한 해외자원개발을 우선해야 한다”며 “전기차 라인업을 다양하게 구축하는 한편, 정부는 보조금 등을 통해 전기차 지원에 나서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전경련은 전기차가 ‘시대적 흐름’이 됐다는 점에 주목했다. 

 

세계 주요국들은 이산화탄소 저감을 위해 내연기관차 규제를 강화하는 추세다. 국제에너지기구(IEA) 등에 따르면 2025년 네덜란드, 노르웨이를 시작으로 2030년 독일, 이스라엘, 인도, 2035년 영국, 2040년에는 프랑스와 스페인, 싱가포르, 대만이 내연기관 신차판매를 중단할 계획이다. 

 

이에 따라 세계 전기차 시장은 2030년까지 연평균 약 20% 이상 증가, 2030년대 후반이 되면 전기차의 세계 시장점유율이 내연기관차를 뛰어넘을 전망이다. 

 

세계 전기차 시장이 폭발적인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점쳐지지만, 우리나라 기업의 대응은 미진하다. 지난해 기준 세계 30대 전기차 제조업체 중에서 국내 기업은 단 한 곳이었다. 중국이 18곳, 미국과 독일이 3곳, 프랑스와 일본이 2곳인 것과 대비된다. 

 

30대 기업의 세계 전기차 판매점유율을 살펴보면, 1위는 테슬라로 37만5752대를 판매했다. 르노‧닛산(20민4569대), BYD(19만7146대) 순으로 뒤를 이었다. 국내기업은 12만1952대를 판매해 1위 테슬라의 3분의 1 수준이다. 

 

아직까지 국내 전기차 시장 규모도 미흡했다. 지난해 각 국 내 전기차 판매대수를 살펴보면, 국내 판매량은 전세계 판매량의 1.6%에 불과했고, 순위로도 11위에 그쳤다. 지난해 기준 주요국가의 시장규모는 중국이 전세계 과반이 넘는 52.9%로 1위를 차지했고, 미국 14.3%(2위), 독일 4.8%(3위), 노르웨이 3.5%(4위), 일본 1.9%(9위), 한국 1.6%(11위) 순이었다.

 

 

전경련은 전기차 시장 확대를 위해 가장 시급한 과제로 수요자 맞춤형 충전 인프라 확충을 꼽았다. 지난해 말 국내 충전기 수는 중국의 0.8%, 미국의 1.4%, 일본의 10.1% 수준에 불과하다. 특히 일본은 국토면적이 남한의 약 3.8배 크기이지만 충전기 대수는 지난해 기준 22만7000개로 한국(2만3000개)보다 약 10배나 많다. 전경련은 “올해 들어 우리도 충전인프라 확충을 위해 많은 노력을 하고 있지만 아직 세계 수준에는 미흡하다”며 “특히 주유소, 주차장, 공동주택, 직장 등 충전수요가 많은 곳의 민간 사업자 충전인프라 투자 유도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전기차 배터리의 안정적인 수급을 위한 자원 확보도 선행돼야 한다는 지적이다. 중국은 전기차 배터리의 핵심 원재료인 리튬과 코발트 확보를 위해 2005년부터 남미, 아프리카에 각각 1449억달러, 2720억달러를 투자하는 자원외교를 추진하고 있다. 일본도 2009년 ‘희소금속 확보를 위한 4대 전략’을 수립하고 종합상사들의 해외 광산 개발을 지원 중이다. 올해 들어서는 경제산업성이 나서 희토류, 코발트 등 34개 전략금속 공급안정화를 위해 특별통제를 강화하고 있다. 

 

전경련은 “우리나라의 경우 2017년 기준으로 리튬과 코발트 자급률이 0% 수준”이라며 “배터리 원재료 대부분을 중국으로부터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만큼, 국가 차원에서 자원개발 노력이 긴요하다”고 강조했다.

 

전기차 시장을 선점하고 보급률을 높이기 위해 보조금 정책이 필요하다는 제언도 이어졌다. 전경련에 따르면 세계 주요국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이후 경기부양책의 일환으로 전기차 보조금 정책을 실시하고 있다. 프랑스는 6000유로에서 7000유로, 독일은 3000유로 → 6000유로로, 영국은 6000파운드까지 보조금을 인상한 상태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별도의 전기차 보조금 지원은 없다. 

 

기업에 대해서도 라인럽 다양화 구축을 당부했다. 포드는 2022년까지 40종, BMW와 GM은 2023년까지 각각 25종, 22종의 새로운 전기차를 출시할 예정이지만, 현대차는 내년 9종의 신차를 개발한다는 전망을 내놓았는데, 전기차 시장점유율 확대를 위해 다양한 전기차 라인업을 구비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김봉만 전경련 국제협력실장은 “최근 주요국들이 환경규제 강화로 내연기관 퇴출정책을 확대하면서 글로벌 전기차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며 “정부는 전기차 핵심 원재료에 대한 자원개발 노력을 기울이고, 기업은 세계 기업 수준으로 다양한 전기차 모델 라인업을 구축해 경쟁력을 갖춰야 한다”고 말했다. 

 

스페셜경제 / 변윤재 기자 purple5765@speconomy.com

저작권자 © 스페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