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 누적가입자 634만명..LTE보다 더 느려
독점 서비스 부재·기반시설 부족 지적
"투자 안하고 가입자 바라는 것은 모순"

▲ KT 직원들이 경기도 파주산업단지의 상용망에 구축된 5G 단독모드(SA) 네트워크를 시험하고 있다. (사진=KT)

 

[스페셜경제=최문정 기자]국내 이동통신사들은 지난해 4월 ‘5세대 이동통신(5G)’ 서비스를 시작했다. 전세계에서 5G를 상용화 한 첫 사례다. 영상 콘텐츠가 대세로 떠오르면서 소비자들은 ‘빨리빨리’ 5G로 이동할 것 같았지만 가입자 수는 정체다. 독점적인 서비스 부재와 기반시설 부족이 5G 대중화의 속도를 늦추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26일 업계에 따르면 LG유플러스는 이달 16일 국내 최초로 5G 단독모드(SA) 기반의 음성통화 서비스 기술 시연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25일에는 KT가 파주 산업단지에 5G SA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상용망 환경에서 상용 수준의 서비스 품질을 확보했다고 발표했다.

현재 국내에서 서비스 중인 5G 서비스는 비단독모드(NSA)다. 이는 데이터는 5G망을 사용하지만 데이터 처리를 위한 신호는 LTE망을 사용하는 구조로 5G망과 LTE망끼리의 연동이 필수적이다. 이 때문에 통신서비스 등을 사용할 때 지연시간이 발생하거나 통신 신뢰성이 떨어지기도 한다. 또한 5G망과 LTE망을 동시에 이용하는 셈이라 배터리도 빨리 닳는 단점이 있다.

이통업계가 5G SA 모드에 속속 성공하고 있다는 것은 ‘완전5G’에 필요한 기술이 갖춰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사실상 5G 관련 필요 기술은 갖춰진 상황이다.

그러나 5G는 부진의 벽을 넘지 못하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따르면 5G 출범 13개월 차인 지난 4월 가입자 수는 약 634만명이다. 5G 직전 이동통신인 LTE의 경우 같은 기간 동안 약 866만명을 달성했던 것과 대조적이다. 이통사들이 지난해 목표로 제시한 ‘5G가입자 1000만 시대’는 아직도 갈 길이 멀다.

관련 업계는 이러한 부진의 원인을 5G만의 독점적인 서비스 부재와 5G기반시설 부족으로 꼽고 있다.

2010년대 초반 3G에서 LTE로 대대적 전환이 가능했던 배경엔 스마트폰의 보급이라는 대대적 패러다임의 변화가 있었다. 스마트폰이 보급돼 인터넷, 동영상 시청 등이 가능해졌고, 데이터 사용량이 크게 늘었다. 이는 소비자들이 기존 3G 서비스에서 LTE서비스로 빠르게 옮길 이유가 됐다.

그러나 아직 생활에 깊숙이 뿌리내린 5G 기반의 서비스는 없는 상황이다. 대다수의 소비자들에게 5G 서비스는 ‘약간 빠른 인터넷’에 지나지 않는다. 이를 뒷받침하듯 4세대 이동통신이 LTE(Long Term Evolution)이란 기술명칭을 갖는 것과 달리 5G는 상용화된 지 1년이 넘었는데도 기술명칭이 없다.

5G 서비스는 ▲초광대역 서비스(보다 넓은 주파수 대역폭, 안테나를 사용해 데이터 전송속도 상승) ▲고신뢰‧초저지연통신(실시간 반응속도가 올라 원격제어, 자율주행차량, 실시간 게임 등 가능) ▲대량연결(가정용‧산업용 사물인터넷 가능) 등의 특징이 있지만 이와 관련된 뚜렷한 성과는 아직 없다.

여기에 이통사들의 5G기반 시설 확충이 느린 것도 한 몫을 차지했다. 이통사들은 생각보다 5G 가입자 수가 빨리 증가하지 않는데다 상반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로 인해 5G 기반시설 확충을 위한 대대적인 투자에 어려움을 겪어 왔음을 토로한 바 있다.

이와 관련한 소비자들의 반응은 싸늘하다. 이통사들이 5G망을 제대로 확충하지 않은 채 소비자가 늘길 바라는 것이 모순이라는 주장이다.

 

업계에선 지금과 같은 시설확충 속도라면 당초 목표로 제시했던 올해 5G 대중화는 불투명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한 소비자는 “5G는 LTE에 비해 요금제도 비싸고 스마트폰도 훨씬 비싼 걸 써야한다”며 “그런데 기반 시설을 충분히 마련하지 않은 채 가입자가 늘길 바라는 것 자체가 모순”이라 비판했다.

 

스페셜경제 / 최문정 기자 muun09@speconomy.com 

키워드

#5G #5G단독모드
저작권자 © 스페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