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미지출처=게티이미지뱅크]

[스페셜경제=이인애 기자]파생결합펀드(DLF) 관련 대규모 투자 손실과 라임자산운용 펀드 환매 중단 사태 등 사모펀드 관련 논란 속에서도 지난해 사모 전문 운용사가 50곳 가까이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30일 금융감독원과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작년 말 기준 사모 전문 운용사가 전년보다 48곳 늘어 217곳을 기록해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작년 7월 말부터 라임자산운용 펀드 수익률 돌려막기 의혹과 DLF 사태 관련 불완전판매 논란이 지속됐지만 사모 전문 운용사 증가세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 모습이다.

실제로 작년 1분기 사모 운용사가 7곳 증가한 데 이어 2분기에는 10곳, 3분기 14곳, 4분기 17곳으로 증가 규모는 점점 커지는 추세다.

아울러 사모 전문 자산운용사는 지난 2015년 말 19곳에서 2016년 말에는 91곳으로 늘었으며 2017년 말에는 139곳, 2018년엔 169곳으로 꾸준히 증가해 작년 말에는 무려 200곳을 돌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전문가 등은 정부가 지난 2015년 사모펀드 규제를 대폭 완화한 이후 이 같은 현상이 나타난 것이라고 입을 모으고 있다.

전문투자형 사모펀드(헤지펀드) 운용업 진출이 인가제에서 등록제로 바뀌자 사모 전문 운용사 신설이 늘어났으며, 투자자문사에서 사모 운용사로 전환하는 사례도 증가했다는 것이다.

아울러 지난 2015년에는 자본시장법이 개정되면서 자기자본 20억원 이상, 전문 운용인력 3명 이상, 공모 운용사와 비슷한 수준의 물적 실비 등 요건을 가춘 경우는 사모 운용사로 등록이 가능하게 됐다.

특히 저금리 기조가 지속됐던 것도 사모펀드 시장의 양적 성장을 부추긴 요인으로 꼽히고 있다.

사모펀드 설정액은 지난 2015년 말에는 199조8천억원이었으나 작년 말 416조5천억원으로 무려 216조7000억원(108.4%)나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같은 기간 공모펀드 설정액 증가율은 고작 13.4%에 불과해 격차가 크게 나타났다.

최소 가입금액이 1억원인 사모펀드는 주로 자산가를 대상으로 운용되고 있기 때문에 공모펀드에 비해 규제가 적고 자유로운 편인 것으로 알려진 바 있다. 하지만 사모 운용사가 대폭 증가하면서 그만큼 경쟁도 심화돼 적자 운용사도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실제로 지난 2018년에는 전체 사모 운용사 169곳 중 80곳인 47.3%가 적자를 본 것으로 나타났으나, 지난해 3분기에는 200곳 가운데 절반 이상인 113곳이 적자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업계 한 전문가는 “수익기반이 취약한 회사일수록 더 많은 수익을 낼 수 있는 자산에 대한 투자 심리가 크다”며 “이런 점이 리스크를 키우는 요인일 수 있다”고 말했다.

 

 

스페셜경제 / 이인애 기자 abcd2inae@speconomy.com 

저작권자 © 스페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