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경제=홍찬영 기자]1인가구가 급증하고 있는 추세다. 그중에서도 40·50대 남성의 1인가구가 큰 폭으로 늘어나며 주거정책 재설계 등 정책 대응체계 구축이 시급하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국토연구원 박미선 연구위원은 3일, 주간 국토정책 브리프 ‘연령대별·성별 1인가구 증가 양상과 주거특성에 따른 정책 대응방향’을 통해 이같이 주장했다.

국토연에 따르면, 가구구조 변화로 부부와 자녀 중심으로 이뤄진 전형적인 3·4인 가구는 줄어들고 1·2인 가구는 급증하는 추세다.

1985년 6.9%였던 1인 가구 비중은 2015년 27.2%에 이어 2047년 37.3%(832만가구)로 급증할 것으로 전망된다.

반면 부부와 자녀가 함께 사는 가구는 2017년 31.4%에서 2047년 16.3%로 비중이 줄어들 것으로 예측됐다.

박 위원은 이 같은 가구형태의 변화에도 한국의 주거지원 방식은 여전히 2인 이상 가족을 위주로 설정돼 있어 1인 가구를 포용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실제 1인가구는 주거비 부담이 높고 최저주거기준에 미달 확률도 높다. 10가구 중 3가구는 주거비 부담이 월 소득의 30% 이상을 차지해 주거비에 부담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남성 1인가구 증가율은 큰 폭으로 늘어나고 있다. 남성 1인가구가 가장 많이 늘어난 연령대는 50대, 20대, 40대 순이었다. 10년 전에 비해 40대에서 283% 증가, 50대는 358% 증가한 것이다.

박미선 위원은 “1인가구 특성을 반영한 주거정책을 재설정하기 위해서는 취약·고위 1인가구 기초실태 파악 및 중앙정부의 포용적·통합적인 맞춤형 주거정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사진=뉴시스]

 

스페셜경제 / 홍찬영 기자 home217@speconomy.com 

저작권자 © 스페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