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미지출처=게티이미지뱅크]

[스페셜경제=이인애 기자]새 보험국제회계기준(IFRS17)에 대비해 지난 5년 동안 보험업계가 비중을 늘려왔던 보장성보험에 금융감독원이 딴지를 걸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저축성 보험에 대한 정치권 저격도 이어지고 있어 보험업계는 울상을 짓고 있다.

30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신한생명의 올해 3분기 전체 연납화보험료(APE) 중 보장성 보험 비중은 98%로 역대 최대치였다. 회사가 거둬들이는 모든 보험료를 연간 기준으로 환산한 지표인 APE는 보험사 영업 성적을 가늠하는 주요 지표로 사용되고 있다.

IFRS17에서 재무건전성 강화에 보장성보험 비중은 중요한 요소로 알려졌기 때문에 신한생명뿐 아니라 국내 보험사들에서 일제히 보장성보험을 늘리고 저축성보험을 줄이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에 총 보험료수입은 감소한 모습이다.

IFRS17 도입 후에는 보험부채를 시가로 평가하기 때문에 만기에 원금을 한꺼번에 지급해야하는 저축성보험은 현금 흐름을 악화시켜 수익성 저하와 보험부채 증가를 야기한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 같은 이유로 보험사들은 일제히 무·저해지 환급금 보험이라는 이름으로 보장성보험 상품 판매를 늘리고 있는데, 금감원의 공격이 시작된 것이다.

지난 27일 금감원은 무·저해지 환급금 보험 상품 가입 시 주의하라는 소비자 경보를 내렸다. 아울러 내년 4월 시행예정이던 손해보험협회·생명보험협회 규정 개정을 통한 상품 안내 강화를 올해 12월부터 시행하기로 앞당기기도 했다.

이 같은 보장성보험뿐만 아니라 저축성보험도 저격을 받고 있어 보험업계는 수난을 겪고 있다. 지난 28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김병욱 의원은 “삼성생명, 한화생명, 교보생명의 저축상품의 해지공제비율이 0%가 되는 시점은 가입 후 7년인데, 중도 해지할 경우 원금을 보장받을 수 없다”고 소비자들에 주의를 주기도 했다.

보험사들은 이에 대해 “무분별한 의혹 제기”라며 불만을 표하고 있지만 금융당국과 정치권 측은 소비자 보호를 위한 것이라는 입장이다.

 

 

스페셜경제 / 이인애 기자 abcd2inae@speconomy.com 

저작권자 © 스페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