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미지출처=게티이미지뱅크]

[스페셜경제=이인애 기자]36개의 하위 저축은행들의 자산을 모두 합쳐도 1위 저축은행에 미치지 못 할 정도로 양극화가 심화된 모습이다. 이는 디지털금융 경쟁 심화와 지역경제 침체 등의 이유로 야기된 현상이라는 것이 전문가 등의 분석이다. 특히 대주주 적격성 규제 때문에 인수합병(M&A) 시장에 저축은행을 내놓기도 어려운 상황이라 규제 완화에 대한 목소리도 높다.

16일 저축은행업계에 따르면 올해 2분기 기준 전체 저축은행 79개 중 하위 36개사는 자산을 모두 합쳐도(7조8777억원) 1위인 SBI저축은행(8조1837억원)보다 적다. 같은 기간 저축은행별 자산 평균도 대형 저축은행은 2조1146억원이었으나 소형저축은행은 고작 1754억원에 불과해 12배가량 차이가 나는 것으로 집계됐다.

이 같은 상위권 저축은행에 편중 현상은 수익 부문에서 더욱 두드러졌는데, 올해 2분기 자산 상위 10개사는 전체 저축은행에서 47%나 차지했으며 순이익 상위 10개사는 무려 58.9%나 차지하고 있었다.

아울러 수익성 지표인 총자산수익률(ROA)에서 평균 0.71%를 하회하는 곳이 무려 41곳이나 있었으며 이 중 4곳(대아, 라온, 대원, 라이브저축은행)은 순손실을 나타내 ROA도 마이너스였다.

최근 디지털 금융이 중시되면서 대형 저축은행들은 모바일 플랫폼 출시에 나서면서 비대면 영업 경쟁력을 키우고 있지만, 중소형 저축은행들은 구축부터 힘든 상황이라 디지털 경쟁에서도 격차가 벌어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지방 경기 침체도 지속되면서 지방의 소형저축은행들은 부실화를 피할 길이 없다는 게 전문가 등의 분석이다. 상호저축은행법에 따라 지방 소형 저축은행은 영업구역 제한이 있기 때문에 영업력 확대가 어려워 부실화가 심화되고 있다는 것이다. 이에 경영이 힘들어진 저축은행을 M&A 시장에 매물로 내놓고 싶어도 동일 대주주가 저축은행을 3개 이상 소유할 수 없는 엄격한 대주주 적격성 심사 때문에 인수합병마저도 사실상 불가능하다고 볼 수 있다.

이에 업계 한 관계자는 “영업구역 제한과 대주주 적격성 심사 완화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이 같은 양극화 현상을 해결하긴 쉽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스페셜경제 / 이인애 기자 abcd2inae@speconomy.com 

저작권자 © 스페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