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경제=선다혜 기자]일본이 ‘2020 도쿄올림픽’을 앞두고 5세대(5G) 이동통신 서비스 상용화를 위해 국내 통신사들과 긴밀히 협력을 이어왔던 가운데, 한‧일 양국 갈등이 극에 달하면서 ‘비상등’이 켜졌다.

특히 5G 상용화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5G 전용 단말기가 필요하다. 하지만 최근 일본의 반도체 소재 수출 규제로 인해서 삼성전자와 LG전자의 손발이 묶인 형국이라, 도쿄올림픽을 계기로 5G 특수를 누리려던 일본이 오히려 부메랑을 맞을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5일 통신 업계에 따르면 국내 통신사들의 경우 내수산업의 특성상 일본의 화이트리스트 배제에 따른 직접적인 영향은 받지 않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국내 통신사들 일본 이동통신사와 손잡고 일본 내 멤버쉽, 간편결제 등 플랫폼 서비스를 일부 제공하고 있지만 영향은 제한적이다.

다만 이번 화이트리스트 제외 조치로 인해서 일본 정보가 추진하고 있는 5G 상용화 전략에 차질을 빚을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앞서 일본 정부는 자국 통신사들과 함께 오는 2020년 도쿄올림픽에 발맞춰 5G 서비스를 상용화하겠다는 전략을 추진하고 있다.

이에 따라서 일본의 통신사들은 국내 통신사들과 긴밀하게 협력을 해오고 있었다. 실제로 일본 이동통신 시장 1위를 달리고 있는 NTT도코모의 경우 KT와 함께 평창동계올림픽에서 5G규격 ‘SIG’를 개발하는 데 참여하기도 했고, KT의 지분 5% 이상을 보유한 2대 주주다. 또한 일본 내 5G 상용화를 위해서 KT의 상용화 전략을 벤치마킹해왔다.

아울러 일본 2대 통신사인 KDDI도 LG유플러스와 협력을 맺고 5G 기반 스마트폰드론을 공동 개발하기로 하는 등 기업분야(B2B) 5G 생태계 공동조성을 하기로 하는 등 돈독한 관계를 맺어왔다. 그러나 최근에는 한‧일 양국의 갈등이 극에 치달으면서, 일본 통신사들과 한국 통신사들의 관계 역시도 어색해졌다.

물론 일본 통신사들이 5G 상용화 과정에서 국내 통신사들과 협력하지 않는다고 해서 5G망 구축을 하지 못하는 것은 아니다. 문제는 5G스마트폰, 즉 단말기다.

지금까지 일본 시장에서 삼성전자이나 LG전자의 스마트폰 점유율은 미미했다. 하지만 5G 스마트폰이라면 이야기가 달라진다. 우리나라는 올해 4월 5G 상용화에 발맞춰 5G 단말기들이 속속들이 출시됐다. 때문에 일본이 5G 상용화를 앞단기다고 하더라도 5G 스마트폰이 없다면 상용서비스 가입자를 모집할 수 없게 된다.

상용화 자체가 늦어지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는 것이다. 더군다나 일본시장에서 높은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는 애플의 경우에는 2020년 하반기까지 5G 스마트폰을 만들 계획이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러한 문제들로 인하여 하여금 통신사들의 5G 상용화가 발목 잡힐 수 있는 것이다.

일본이 수출규제 및 화이트리스트 배제조치를 취했다고 해서 삼성전자나 LG전자가 일본 정부처럼 5폰에 대해서 수출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한일 양국 관계의 갈등으로 인해서, 우리나라만큼 일본 역시도 반한(反韓) 감정이 고조된 상황이다. 때문에 일본 정부가 삼성전자와 LG전자를 앞세워서 5G 상용화를 추진하는 것 역시도 곤란하게 된 것이다.

 

스페셜경제 / 선다혜 기자 a40662@speconomy.com

<사진제공 뉴시스> 

저작권자 © 스페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