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경제 = 김봉주 기자] 빠르게 진화하는 보이스피싱 수법이 갈수록 고도화·전문화되어 속수무책으로 당하는 피해자가 늘고 있다. 신종 보이스피싱에 속아넘어가는 피해자들이 늘면서 범죄 피해액도 커지고 있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작년 보이스피싱 피해액은 4440억원으로 전년(2431억원)보다 82.7% 증가했다. 동일 기간 피해자 수는 3만919명에서 4만8743명으로 57.6% 늘었다.

가장 흔한 보이스피싱 수법은 ‘대출빙자형’으로 신규대출·저금리 전환대출이 가능하다며 특정 계좌로 송금을 요구한다.

또 다른 보이피싱 수업인 ‘사칭형’은 검찰·경찰·금감원 등을 사칭해서 돈을 편취하는 수법이다.

최근 ‘전화가로채기’, ‘원격조정’ 등의 신종 보이스피싱 피해도 늘고 있다. 이는 애플리케이션을 스마트폰이나 PC에 설치하면 단말기에 저장되어 있는 금융정보가 사기범에게 넘어가게 되는 구조다.

이를 통해 보이스피싱 사기범들은 금융기관 진위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전화를 모두 자신들에게 연결하고 전화기에 뜨는 발신번호도 경찰청이나 금감원 상담번호로 바꿀 수도 있다. 피해자의 통장에 잔고가 없어도 피해자의 단말기로 카드론 등을 이용해 돈을 가로챌 수도 있다.

작년 발생한 보이스피싱 범죄 가운데 69.7%(피해액 4440억원 중 3093억원)는 대출빙자형으로 나타났다. 특정 계좌로 송금을 요구하던 유형에서 피해자에게 대출 실행 앱을 설치시킨 뒤 스마트폰을 원격조종으로 대출받아 사기범이 편취하는 형태다.

보이스피싱 피해는 주로 고령층에서 나타날 것 같지만 실제로 그렇지는 않다. 과거 보이스피싱 유형은 무작위로 전화를 거는 형태라 고령의 피해자가 대부분이었지만, 최근 유출된 개인정보로 타깃을 정한 뒤 정교한 수법으로 접근해 피해연령대가 고르게 나타나는 추세다.

금감원이 발표한 연령별 피해금액은 작년 40~50대 피해금액이 2455억원(56.3%)으로 최대였고 60대 이상은 987억원(22.6%), 20~30대는 915억원(21.0%) 순이었다.

 

(사진제공=게티이미지뱅크)

스페셜경제 / 김봉주 기자 seraxe@speconomy.com 

저작권자 © 스페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