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부 투자자들 IBK투자증권 상품에 가입...기업은행 선보상 제외
대책위 “모기업인 기업은행에 준하는 투자원금 50% 선지급 해야”

▲ 기업은행 디스커버리펀드사기피해 대책위원회(이하 대책위)는 17일 IBK투자증권 본사 앞에서 IBK투자증권 규탄 집회를 열었다. (사진촬영=윤성균 기자)

 

[스페셜경제=윤성균 기자]디스커버리펀드 피해 투자자들 중 일부가 IBK기업은행이 아닌 IBK투자증권 상품에 가입된 사실을 뒤늦게 알게 돼 논란이다. 기업은행 펀드 투자자들은 투자원금의 50%를 선지급 받지만, IBK투자증권 펀드 투자자들은 선지급을 받을 수 없어 억울한 피해사례가 늘고 있다.

기업은행 디스커버리펀드사기피해 대책위원회(이하 대책위)는 17일 IBK투자증권 본사 앞에서 IBK투자증권 규탄 집회를 열었다.

대책위는 앞서 지난 14일 반포자이 WM센터, 지난 15일 판교 WM센터 앞에서 집회를 열고 IBK투자증권의 편법적 판매를 규탄했다.

기업은행은 2017년부터 은행과 증권사의 다양한 투자상품 판매와 상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WM센터를 기업은행과 IBK투자증권의 복합점포로 운영하고 있다.

대책위는 WM센터가 고객에게 투자증권사 상품임을 제대로 알리지 않고 임의로 고객 동의없이 IBK투자증권 상품에 가입시키는 등 편법적인 판매행위를 일삼았다고 폭로했다. 증권사 상품 가입 고객은 앞서 기업은행이 내놓은 투자원금 50% 선지급 보상안에서 제외되기 때문에 논란이 증폭되고 있다.

이날 집회에 참여한 가정주부 A씨는 “증권사에 발을 들여다 본 적도 없는데 증권사 상품에 가입이 돼있었다”며 “은행이 아니라 증권 상품을 가입했기 때문에 보상을 받을 수 없다고 해서 너무 억울하다”고 호소했다.

A씨는 “기업은행과 똑같은 상품을 팔았으면 최소한 기업은행과 똑같이 보상해야 하지 않느냐”며 “양심이 있다면 우리 돈을 돌려달라”고 말했다.

이들 피해자들은 기업은행에 거래하면서 안정적이고 보수적으로 자산을 운영하고 관리해왔으나, 기업은행과 IBK투자증권의 사기적 판매수법으로 함정에 빠졌다는 입장이다.  

 

▲ 디스커버리펀드 피해투자자들이 사모펀드 투자 계약서를 찟어 IBK투자증권 본사 건물에 붙이는 퍼포먼스를 하고 있다. (사진촬영=윤성균 기자)


대책위는 투쟁결의문에서 “IBK투자증권과 기업은행은 자본시장법과 투자권유준칙에 따라, 투자자구분, 투자성향분석, 설명의무, 권유시 유의사항, 투자위험도 분류기준을 철저히 준수해야 한다”며 “특히 계열회사가 운용하는 상품을 권유할 경우 해당 상품이 계열회사 상품이라는 사실을 고지해야 하지만 기업은행은 이를 지키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특히 IBK투자증권은 고령자에 대한 보호조치인 고령투자에 대한 보호규정을 지키지 않거나, 고령자 투자권유 유의상품으로 아예 지정 분류조차 하지 않고 마구잡이로 판매했다는 것이 대책위 측 주장이다.

투자성향이 안정추구형인 고객을 무리하게 위험등급 1등급에 가입시키거나, 임의로 공격투자형 또는 적극투자형으로 조작해 펀드에 가입시킨 사례도 드러났다.


▲ 고령투자자의 가입 확인서. 투자자의 서명이 없다. (자료제공=기업은행 디스커버리펀드 사기피해 대책위원회)

PB들은 “미국이 망하지 않는 한 절대 안전하다”, “원금 3%이상 확실하게 보장하는 상품이다” 등의 말로 투자를 망설이는 고객들을 설득한 것으로 전해졌다.

대책위는 IBK투자증권에 ▲피해원금 100% 자율배상·선지급 50% 즉각 이행 ▲고객 신뢰를 배신한 복합점포 즉각 폐쇄 ▲사기판매 행위 인정하고 계약무효 선언 등을 요구했다.

이날 집회에 참여한 신장식 대책위 법률대리 변호사는 “IBK투자증권은 중요한 결정을 해야 한다. 30% 보상이라는 증권사들끼리의 ‘조폭적’ 의리를 지킬 것인가, 고객을 우선하는 선택을 할 것인지 선택해야 한다”며 “기업은행을 믿고 투자한 투자자들을 위해 기업은행과 동일한 조치를 해주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이날 대책위는 IBK증권의 디스커버리펀드 TF팀을 만나 간담회를 진행하고, 피해자들의 요구서를 전달할 예정이다.

대책위는 서병기 IBK투자증권 대표이사와의 간담회를 개최해 디스커버리펀드 가입피해자의 피해사례를 청취하고, 대안을 찾아줄 것으로 요구했다.

 

스페셜경제 / 윤성균 기자 friendtolife@speconomy.com 

저작권자 © 스페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