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경제=이시아 기자]미래에셋은퇴연구소는 은퇴리포트 40호 ‘초장수 시대의 노후자산 운용’을 발간했다고 16일 밝혔다.

은퇴자들은 현재 자신의 노후 계획이 늘어난 수명에 대응할 수 있는지 점검하고, 새로운 노후자산 운용전략을 모색해야 할 필요가 있다.

미래에셋은퇴연구소는 초장수 시대에 맞춰 세 단계로 나눠 노후자산 운용전략을 제시했다.

첫째, 먼저 고령 전·후기 자산운용을 구분한다. 만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동질적인 집단이 아니라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만 75세 미만의 전기 고령자는 비교적 건강하고 생활자립도가 높지만, 이후가 되면 질병에 걸릴 확률이 급증하고 일상생활에서의 의존성이 높아진다.

고령 후기로 갈수록 노후자산을 스스로 운용할 수 있는 능력이 저하된다. 고령 전·후기의 생활패턴이나 자립도의 차이가 크기에 노후자산 운용과 인출 방식도 달라야 한다.

둘째, 종신형 연금 수령은 가급적 늦춘다.

종신형 연금 수령을 늦추면 예상 수령 기간이 짧아지는 만큼 월 수령 연금액이 많아진다. 수령을 늦춘 만큼 소득공백기가 길어지지만 연금수령을 늦추는 것이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오래 살수록 더 유리한 구조가 된다.

셋째, 노후자산 ‘시간차’ 배치 모델을 구축한다.

고령 전·후기 자산운용을 구분하고, 종신형 연금 수령을 늦추는 원칙을 조합하면 시간차를 두고 노후자산을 인출하는 모델을 만들 수 있다.

금융자산을 은퇴 초반에 전진 배치해 적극적으로 운용하면서 인출하고, 종신형 연금은 후진 배치해 수령시기를 늦춰 매월 받는 연금액을 늘린다.

금융자산과 종신연금 인출을 동시에 시작하는 경우보다 장수할수록 더 많은 소득을 얻기 때문에 초장수시대에 적합한 모델이다.

[사진제공=미래에셋은퇴연구소 홈페이지 캡처]

 

스페셜경제 / 이시아 기자 edgesun99@speconomy.com 

 

저작권자 © 스페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