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9월10일 오후 인천국제공항 주기장에 아시아나항공 여객기가 이륙하고 있다.(사진=뉴시스)

 

[스페셜경제=오수진 기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가 장기화됨에 따라 항공업계에 비상등이 켜졌다. 하늘길이 막힌 상황에서 정부의 고용지원금까지 종료돼 자구책을 마련해야 할 상황에 처했다.

항공업계에 따르면 아시아나항공, 제주항공, 진에어, 티웨이항공, 에어서울은 지난달 말 정부의 고용유지지원 기간이 만료됐다. 에어부산과 대한항공은 각각 11월과 12월 중 만료될 예정이다.

고용지원금 종료가 다가오면서 대부분의 항공사들은 줄줄이 유급휴직에서 무급휴직으로 전환했다. 내년 1월이면 지원금을 재신청을 할 수 있지만 올해 말까지 남은 두 달을 버텨야 하는 상황에서 어쩔 수 없는 판단으로 보인다.

앞서, 정부는 일시적 경영난으로 지속적인 고용이 어려운 사업주가 휴업 및 휴직 등의 고용유지 조치를 하는 경우 인건비 일부를 지원했다. 지난 8월에는 고용유지지원금 기간을 2개월 연장했지만 재정 부담이 크다는 이유로 추가 지원하지 않기로 했다.

저비용 항공사(LCC)는 벌써 무급휴직에 돌입했다. 대형항공사보다 휴직을 먼저 시행한 6개 LCC는 유급휴직이 종료되는 시점에서부터 12월 말까지 무급휴직을 시행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그동안 유급휴직 지원금을 받아왔던 제주항공, 진에어, 티웨이, 에어부산, 에어서울, 플라이강원은 무급휴직 계획서를 지방고용노동관서에 제출했다.

대형항공사 역시 사정이 좋지 못한 것은 마찬가지다. 현재 아시아나항공은 무급휴직과 유급휴직을 합쳐 전체 직원 9천여 명의 70%가 휴직 상태지만 이달 더 많은 인원이 무급휴직에 돌입할 것으로 보인다.

대한항공은 올해 4월 15일부터 10월 15일까지 코로나19로 인한 경영환경 악화에 따라 순환 유급휴직을 해왔지만, 이번 연장 조치로 12월 15일까지 순환휴직이 이어질 방침이다. 전체 국내 직원 1만 8천여명의 70%가량인 1만 2600여명이 휴직 대상이다.

비상사태에 돌입한 만큼 항공사들은 여러 강구책을 찾고 있다. 아시아나항공과 제주항공은 한반도 일주 비행을 시작했다. 생각보다 높은 수요에 연내 관련 프로그램을 더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대한항공은 항공기를 개조해 화물 운송을 준비했다. 최근, ‘B777-300ER’ 여객기 2대의 객실 좌석과 기내 전기배선 등을 제거하고 화물을 고정할 수 있도록 바닥에 규격화된 잠금 장치를 설치했다. 또, 화물사업본부 내에 백신 수송 업무 전반에 걸쳐 필요한 사항들을 전담하는 태스크포스(TF)를 구성키도 했다.

진에어도 국내 LCC 최초로 로스앤젤레스(LA)에 화물 운송을 개시하고 수익성 강화에 나섰다. 으로도 진에어는 미주와 유럽까지 운항할 수 있는 B777-200ER 대형 항공기를 활용해 다양한 고부가가치 화물 수요를 확보한다는 전략이다. 이외에도 진에어 관계자는 한반도 일주 비행과 같은 프로그램을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한편,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 등을 회원사로 둔 한국항공협회는 포스트 코로나에 대비하기 위해 ‘항공산업 고용 안정 태스크포스(TF)’를 발족했다. TF에는 대한항공, 아시아나항공, 제주항공 등 8개 항공사와 한국공항, 아시아나에어포트 등 5개 지상조업사가 참여했다.

 

스페셜경제 / 오수진 기자 s22ino@speconomy.com 

저작권자 © 스페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