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경제=김다정 기자]지난해 근로를 하지 않은 ‘쉬었음’ 인구가 사상 처음으로 200만명을 돌파했다.

쉬었음 인구는 일할 능력이 있지만 병원치료나 육아·가사 등 구체적인 이유 없이 막연히 쉬고 싶어서 일하지 않는 사람을 말한다.

이들은 실업자로도 분류되지 않는데 실업 상태로 전락하거나 아예 구직을 포기할 가능성이 크다.

19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비경제활동인구 중 쉬었음 인구는 전년대비 23만8000명 늘어난 209만2000명을 기록했다.

이는 관련 통계를 시작한 2003년 이래로 사상처음 200만명을 넘어선 규모이며, 증가율(12.8%) 또한 2011년 13.3% 이후 8년 만에 가장 높은 것이다.

특히 노동시장의 핵심 연령층인 20~40대에서 이 비율이 늘어나 경제 활력이 떨어지고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지난해 쉬었음 인구의 증가세는 전 연령층에서 골고루 높게 나타났다. 연령대로 살펴보면 15~19세 2만9000명, 20대 33만2000명, 30대 21만3000명, 40대 22만3000명, 50대 42만6000명, 60세 이상 87만명 등이었다.

자유한국당 추경호 의원실에 따르면 각 연령층에서 쉬었음 인구의 비중은 20대 5.2%, 30대 2.9%, 40대 2.7% 등으로 2003년 이래 모두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특히 20대 인구 중 쉬었음 응답자 비율이 처음으로 5%를 넘었다. 통상 은퇴 후 다른 일자리를 찾지 않거나 단기 일자리를 전전하는 고령층에서 쉬었음 응답률이 높은 편인데 지난해에는 20대의 쉬었음 비중이 50대(5.0%)를 추월했다.

40대의 경우도 쉬었음 인구 비중은 2016~2018년 2.2~2.3% 수준이었다가 지난해 2.7%로 크게 뛰었다.

한국노동연구원은 ‘노동리뷰’ 최신호를 통해 “비경제활동인구 가운데 ‘쉬었음’은 그동안 주로 60세 이상 고령층에서 증가했으나 지난해 들어서 60세 미만 연령층의 증가폭이 60세 이상의 증가폭을 상회하는 모습”이라며 “경기 둔화로 인해 남성을 중심으로 주력 연령대 고용이 좋지 않은 상황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사진제공=뉴시스]

스페셜경제 / 김다정 기자 92ddang@speconomy.com 

 

저작권자 © 스페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