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경제=김다정 기자]2010년 이후 취업자와 실업자 간 벽이 더 높아지면서 한번 실직하면 재취업하는 게 더 어려워졌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이처럼 꽉 막힌 노동회전율이 오랫동안 지속될 경우, 노동 생산성에 부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지적도 제기됐다.

11일 발간된 한국은행의 조사통계월보에 담긴 ‘노동이동분석:고용상태 전환율을 중심으로’라는 보고서에 따르면, 2000년대 이후 노동 회전율은 2000년~2009년 29.2%에서 2010년~2018년 26.4%로 하락했다.

노동회전율은 실업상태에서 취업상태로 전호나되는 취직률, 취업상태에서 실업상태로 전환되는 실직률을 더한 것이다. 이는 노동시장 내 노동 이동이 얼마나 활발하게 이뤄지는지 보여주는 것이다.

이번 연구결과는 연구팀이 2000년~2018년 중 경제활동인구조사 마이크로데이터를 활용해 취업과 실업, 비경제활동인구의 고용상태 전환율을 추정해 분석한 것이다.

2000년~2009년 28.2%였던 취직률은 금융위기 이후 2010년~2018년 25.6%로 떨어졌다.

취직률은 실직자가 구직활동을 통해 다음달 취직할 확률을 나타내는데, 취직률이 하락했다는 것은 그만큼 실업자가 그 상태에서 벗어나기 어려워졌다는 것을 의미한다.

같은 기간 실직률도 1.0%에서 0.8%로 하락했다. 취업자는 취업상태에, 실업자는 실업상태에 그대로 머무는 추세가 굳어진 것이다.

보고서를 작성한 한국은행 조사국 오삼일 과장은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노동 회전율이 둔화된 것은 경기진폭 둔화, 경제구조 변화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데 기인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설명했다

특히 고학력 노동자 증가 등으로 취직률이 지속 하락하면서 기업의 고용창출 능력이 약화된 데에 기인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오 과장은 “최근 저학력에 비해 취직률이 낮은 고학력 비중이 늘어나면서 전체적인 취직률을 하락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했다”며 “생산설비 세계화 등으로 기어브이 고용조정 필요성이 국외에서 발생하고 있는 점도 국내 노동이동을 축소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했다”고 말했다.

이어 “노동이동 둔화의 장기화는 향후 노동생산성에 부정적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유의할 필요가 있다”며 “노동시장에서 밀려나더라도 교육 등을 통해 노동 재배치가 월활히 이뤄져야 생산성이 높아질 수 있다”고 강조했다.

다만 주요국과 비교했을 때에는 해당 기간 우리나라의 평균 고용상태 전환율이 미국에 비해 낮으나 이탈리아, 포르투갈 등 고용보호지수가 높은 유럽 국가에 비해서는 높은 수준인 것으로 조사됐다.

[사진제공=뉴시스]

스페셜경제 / 김다정 기자 92ddang@speconomy.com 

 

저작권자 © 스페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