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경제 = 정성욱 기자] 유튜브가 가짜뉴스‧필터버블‧확증편향 등의 부작용으로 사람들의 정치 편향성을 강화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한국방송학회와 한국심리학회는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유튜브와 정치 편향성, 그리고 저널리즘의 위기’를 주제로 한 기획세미나를 21일 진행했다.

이날 ‘유튜브와 허위 정보’라는 주제로 발표를 진행한 이상우 연세대학교 정보대학원 교수는 “국내에는 532개 정치 뉴스 채널이 있다. 전통미디어 사업자들뿐 아니라 정치인과 정당이 홍보 채널로 사용하고 있다”며 “편향적 보도가 많다”라고 지적했다.

이어 “전통미디어가 신뢰도는 낮아졌지만, 객관성과 공정성을 유지하려 노력하고 있다. 하지만 유튜브에서는 그런 부분들이 무시되고 극단적 편향성을 유지하는 채널들이 인기가 많다”라고 말했다.

이 교수는 또 유튜브의 영향력이 날로 커지고 있다고 주장했다. 실제로 인기 있는 유튜브 채널 하나의 매출이 지상파 방송사의 매출과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다. 유튜브 채널은 구독자 수와 조회 수에 따라 수익이 발생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 교수는 “유튜브가 여과되지 않은 내용, 직접적인 소통, 민주화에 기여한다는 긍정적인 부분도 있다. 하지만 요즘은 유튜브가 허위정보의 온상이라는 말이 나올 정도로 부정적인 측면이 너무 크다. 정치적 편향성을 심화시키고 있다는 이야기가 나온다”라고 전했다.

또한 “유튜브를 통해 유통되는 허위정보와 가짜뉴스를 사람들이 믿는 이유는 확증편향이 생겨 내가 믿고 싶은 것을 믿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날 ‘유튜브 추천 콘텐츠와 확증 편향’을 주제로 발표한 최홍규 EBS 미래교육연구소 연구위원도 유튜브의 ‘확증 편향’에 대해 지적했다.

최 연구위원은 “유튜브 전체 트래픽의 70%가 추천시스템에 의한 것으로 알려졌다”며 “누적된 시청 시간이 음모론적 허위정보나 자극적인 콘텐츠 영상에 대한 추천을 늘리는 부작용을 일으킨다”라고 지적했다.

이어 “성인을 대상으로 유튜브 콘텐츠 추천 효과에 대한 실험을 해봤더니, 추천시스템을 많이 이용할수록 추천시스템이 편파적이지 않고 내 생각과 유사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라고 전했다.

한편 로이터가 최근 38개국을 대상으로 지난 일주일간 유튜브 뉴스 관련 동영상 시청 경험을 조사한 결과, 한국은 40% 정도를 나타내며 터키, 대만, 멕시코에 이은 4위에 해당하는 기록을 보였다.

또한 이 조사에서 ‘가짜뉴스를 구분해낼 수 있는가’라는 질문에 조사 대상의 55%가 ‘어렵다’라고 응답했다. 특히 한국은 59%가 어렵다고 답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국회에서도 최근 가짜뉴스 규제 필요성을 느끼는 것으로 보인다. 국회는 가짜뉴스 유통 방지 책임자 지정, 가짜뉴스 상시모니터링 의무 부과, 가짜뉴스 삭제 의무화, 의무 불이행 시 제재 등의 내용을 핵심으로 한 가짜뉴스 관련 법안에 대해 논의 중이다.

이에 대해 이 교수는 “이런 법안의 문제점은 가짜뉴스의 범위가 너무 모호하다는 것”이라며 “허위정보를 어떻게 정의할지, 누가 허위정보를 판단할지, 과잉규제는 아닌지, 표현의 자유 침해는 아닌지, 정부가 규제하는 것이 적절한지 등 논란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신중하게 접근해야 한다”라고 주장했다.

또한 “유럽에서는 비영리 단체가 팩트체크를 하고 있다. 비판이 가해진다면 정제될 수 있지 않을까 싶다”라며 팩트 체크 교육 강화를 강조했다.

지난해 40대까지의 시청 시간 비중이 68%인 것으로 나타난 유튜브는 최근 전 국민이 이용하는 플랫폼으로 성장했다. 특히 2014년 3%에 불과했던 60대의 비중은 4년 만에 11%로 급성장했다.

하지만 유튜브에 대한 다양한 부작용이 제기되면서 많은 사람이 이용하는 플랫폼인 만큼 올바른 이해와 바람직한 정책적 접근을 모색해야 한다는 우려 섞인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사진 제공=유튜브]

 

스페셜경제 / 정성욱 기자 swook326@daum.net 

저작권자 © 스페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