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경제=선다혜 기자]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지난해 말까지 아파트 중위가격 기준으로 서울은 3억 원 가까이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경남은 3,500만 원 하락하는 등 지역 간 격차뿐 아니라 고가·저가 아파트 간에도 가격차가 크게 벌어지며 양극화가 심화하는 양상이다.

10일 KB국민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기준 서울 아파트 중위가격은 2017년 5월(6억635만 원)보다 2억9,117만 원 오른 8억9,751만 원을 기록했다. 고가주택 기준인 9억 원에 육박하는 수치로 상승률로만 봐도 48.0%에 달한다. 반면 지방의 경우 6대 광역시와 여수·순천·광양에서 강세가 나타난 전남 지역을 제외하고는 모두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세부적으로 경남 아파트 중위가격은 2017년 5월 1억9,906만 원에서 지난해 12월 1억6,330만 원으로 3,575만 원(18.0%) 하락했다. 이는 창원·거제 등 주요 도시 부동산이 지역경제 침체로 하락한 탓이다.

이러한 하락세는 △충북 -2,691만원(-17.2%) △경북 -2,515만원(-17.0%) △강원 -2,096만원(-13.5%) △충남 -1,928만원(-12.6%) △전북 –667만원(-4.7%) 순으로 이어졌다. 공급이 많이 이뤄진 지역일수록 하락폭이 컸다.

미분양 상황 역시 심각하다. 지난해 11월 말을 기준으로 서울의 미분양은 176가구에 그친 반면, 지방 미분양은 총 4만5,246가구에 달한다.

지방 하락률이 가장 컸던 경남의 미분양 주택은 1만3,060가구였다. 이른바 ‘악성 미분양’으로 일컬어지는 준공 후 미분양 또한 경남은 4,186가구를 기록했다. 경북(3,302가구)과 충남(2,968가구)이 그 뒤를 이었다.

고가 아파트와 저가 아파트 간 가격 차이도 심화하고 있다.

지난해 12월 기준 서울의 상위 20%(5분위 아파트) 평균가격은 17억6,158만 원으로 2017년 5월(11억9,528만 원) 대비 5억5,000만 원 가까이 상승했다.

수도권을 중심으로 고가 아파트 가격이 급격히 상승하면서 5분위 배율은 6.8로 9년여 만에 최대치를 기록했다. 5분위 배율은 5분위(하위 20%) 아파트 평균가격을 1분위(상위 20%) 아파트 평균가격으로 나눈 값이다. 배율이 높을수록 격차가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고준석 동국대 겸임교수는 “지방의 경우 인구 감소 등의 영향으로 공급이 부족하지 않지만 서울의 경우 공급이 부족한 상태”라며 “서울의 급격한 오름세에 지방 거주민들이 투자에 나서면서 악순환이 반복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러한 집중현상을 막기 위해 수도권 도시들이 자족기능 및 교통 인프라를 갖추도록 정책적 시도가 필요하다. 판교가 좋은 예시”라고 덧붙였다.

 

스페셜경제 / 선다혜 기자 a40662@speconomy.com 

저작권자 © 스페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