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경제=홍찬영 기자]국민경제 전반의 물가 수준을 뜻하는 GDP 디플레이터가 20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이에 따라 디플레이션 우려가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한국은행이 3일 발표한 ‘2019년 3분기 실질 GDP(잠정치)’에 따르면 3분기 실질 GDP는 전기대비 0.4% 상승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 10월 발표된 속보치와 같은 수치다. 다만 속보치에 반영되지 않았던 3분기 마지막 달의 일부 실적치가 반영되면서 건설투자는 0.8%포인트 하향 조정된 반면 수출은 0.5%포인트, 민간소비는 0.1%포인트 상향조정됐다.

산업별로 보면 제조업은 컴퓨터·전자 및 광학기기 등이 늘어 2.4% 성장했다.

서비스업도 의료, 보건 및 사회복지서비스업, 도소매 및 숙박음식업 등을 중심으로 0.6% 성장했다. 반면 건설업은 건물 및 토목 건설이 모두 줄어 4.9% 감소를 나타냈다.

이 가운데 GDP 디플레이터 등락률이 눈에 띈다. GDP 디플레이터는 국민소득에 영향을 주는 모든 경제활동을 반영하는 종합적 물가지수를 뜻한다.

GOP 디플레이터는 전년동기대비 1.6% 하락했다. 이는 외환위기 이후 20년 만에 가장 낮은 수준으로 그만큼 경기가 많이 위축됐다는 얘기다. 더구나 GOP 디플레이터는 사상 처음으로 지난해 4분기부터 4분기째 마이너스 행진을 이어나가고 있다.

이는 반도체·화학제품이 부진하면서 수출가격 하락과 교역조건 악화로 이어진데 따른 영향이다.

경제활동 전반을 포착하는 물가 지수가 낮아지면서 상품과 서비스의 가격이 지속적으로 하락하는 현상인 디플레이션 우려는 커지게 됐다. GDP 디플레이터가 하락세를 이어가고 있다는 건 한국 경제가 저성장·저물가 국면으로 진입하고 있다는 신호로 풀이된다.

다만 이같은 디플레이션 우려에 대해 한은은 “디플레이션은 일반적으로 총수요 부진으로 국내의 전반적인 물가 수준이 하락하는 것이기 때문에 이를 디플레이션으로 연결시키는 것은 적절치않다”이라고 분석했다.

 

[사진제공=뉴시스]

 

스페셜경제 / 홍찬영 기자 home217@speconomy.com 

저작권자 © 스페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