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부 소규모 판매사들 불참 통보
출자규모 놓고도 갈등 커질 수도

 

[스페셜경제=윤성균 기자]라임자산운용의 부실펀드를 처리하기 위한 ‘배드뱅크’ 출범에 차질이 빚어지고 있다. 자산 회수가 어렵다며 일부 판매사들이 불참을 선언했기 때문이다.

금융당국과 판매비중이 높은 대형사들이 배드뱅크 설립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기 때문에 설립 자체에는 문제가 없지만, 19개 판매사가 모두 참여하는 완전체 배드뱅크 설립은 어려울뿐더러 참여사들 간 출자규모에 대한 갈등은 깊어질 것으로 보인다.

1일 금융투자업계와 뉴시스 보도에 따르면, 라임자산운용 펀드를 판매한 19개사와 금융감독원은 배드뱅크 설립을 위한 회의를 세차례 진행했다.

배드뱅크는 금융회사의 부실 자산을 처리하기 위해 한시적으로 운영되는 기관이다. 이번에 설립되는 배드뱅크는 라임의 환매 중단 펀드에 든 자산을 매각해 투자자들에게 상환하는 역할을 맡게 된다.

금감원과 우리은행, 신한은행, 신한금융투자, 대신증권 등 라임 펀드 판매사 19곳은 지난달 20일 ‘라임 펀드 이관을 위한 신설 협의체’에 대한 긴급회의를 진행했다.

당시 회의에서 1조6000원 규모의 라임 펀드 회수를 위한 배드뱅크 설립 필요성과 방향성에 대한 의견을 나눴으며 판매사들은 22일까지 배드뱅크 참여 여부에 대한 의견서를 금감원에 제출하기로 했다.

하지만 22일에도 일부 판매사들이 ‘검토 중’ 또는 ‘아직 의견을 제출하기 어렵다’는 이유로 참여여부를 확정하지 못했고, 일부는 불참의사를 밝힌 것으로 전해졌다.

이들 판매사들은 이미 라임펀드의 손실규모가 전액 수준이며 라임이 변제 능력이 없는 것으로 진단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에 배드뱅크 설립을 추진했던 주요 판매사 6곳과 금감원은 지속해서 참여를 독려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 같은 상황이 지속되면 라임 판매사 일부만 참여하는 배드뱅크가 설립될 가능성이 크다. 이 경우 판매비중이 높은 대형사들이 참여를 확정하고 있어서 신설 운용사 설립에는 큰 어려움이 없을 전망이다.

다만 출자규모를 놓고 갈등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참여하는 기관의 수가 줄어서 각사가 부담해야 하는 규모가 더 확대됐기 때문이다.

투자업계에서는 배드뱅크 설립에 최소 50억원은 필요하다고 보고 있다. 라임 환매 중단 펀드에서 매년 발생하는 수수료만 30억원에 달하기 때문이다. 판매사별로 투입 시기에 따라 원금 손실률과 피해 보상 방식에서 차이가 있는 것도 큰 변수다.

하지만 투자업계에서는 배드뱅크 설립은 불가피하다는 입장이다. 윤석헌 금감원장도 배드뱅크에 적극적인 의사를 밝혔다. 윤 원장은 지난 27일 취임 2주년 기자간담회에서 “운영 주체가 바뀌어야 보다 깨끗하고 공정하게 처리할 수 있다”며 “펀드 이관해서 정리하는 배드뱅크 방식이 적절하다고 보고 있다”고 말했다.

윤 원장은 “아직 몇개 회사들이 약간 이견이 있지만 5월 중으로는 조정돼 배드뱅크가 설립될 것”이라고 말했다.

배드뱅크 설립을 추진하는 한 업계 관계자는 “모든 판매사가 참여하면 좋겠고, 이를 위해 계속 독려하고 있다”면서 “일부 불참한다 하더라도 배드뱅크 설립 논의는 이어갈 예정”이라고 말했다.

 

(사진제공=라임자산운용)

 

스페셜경제 / 윤성균 기자 friendtolife@speconomy.com 

저작권자 © 스페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