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경제= 정민혁 인턴기자] 은퇴 후 남은 집 한 채를 담보로 맡기는 ‘가계대출’을 이용하는 고령층이 늘고 있어 집값이 하락하거나 예상치 못한 지출로 고령층 가계의 자금 사정이 악화될 경우 빚을 갚지 못하는 상황까지 내몰릴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8일 ‘60세 이상 고령층의 가계신용 중 가계대출 증가율’은 지난 2분기 말 기준 전년 동기 대비 9.6% 늘어난 것으로 추산됐다. 지난해 증가율(9.9%)에 비해서는 소폭 둔화했으나 여전히 9%대의 높은 증가세를 이어갔으며 2분기 전체 가계대출 증가율이 4.1%였던 점을 감안하면 고령층의 빚 증가속도가 두 배 이상 빠른 것으로 드러났다.

아울러 전체 가계대출에서 고령층이 차지하는 비중은 확대 추세를 보이고 있다. 한국은행의 약 100만명의 신용정보로 구성된 가계부채 데이터베이스(DB)에 따르면 60세 이상의 가계대출 비중은 2016년 16.6%였으나 2017년 17%, 2018년 17.6%, 올 2분기 17.9%로 커진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고령층은 은퇴 이후 소득은 줄어드는데 자산 대부분은 부동산에 묶여 있어 빚 갚을 여력이 부족하고 소유하고 있는 돈이 상대적으로 적기 때문에 통상 가계부채의 ‘취약고리’로 분류된다. 최근 메트라이프생명이 현대경제연구원과 공동으로 실시한 ‘한국 수도권 가계의 자산배분에 대한 인식조사’ 결과에 따르면 60대의 금융자산과 비금융자산 비율은 18대 82로 전 연령층에 비해 부동산 편중 현상이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빚은 물론 생활비에 허덕이느라 고령층의 빈곤율도 늘고 있다. 한국금융연구원 장민 선임연구위원이 분석한 ‘우리나라의 고령층 빈곤율 현황과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의 빈곤 고령층 비율은 2017년 기준 43.8%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평균치인 14.8%보다 압도적으로 높았다. 여기서 빈곤율은 고령층 중 모든 인구를 대상으로 한 가처분소득 중위값의 절반에 못미치는 빈곤층이 차지하는 비율로 알려졌다.

장민 선임연구위원은 “대다수의 OECD 국가에서는 근로자들이 은퇴 이후에도 연금, 사회이전소득 등을 통해 일정 수준의 소득을 누리고 있지만 우리나라는 소득보완장치가 미흡하기 때문”이라며 “고령 빈곤층을 위한 단계적인 보완대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사진출처= 뉴시스]

스페셜경제 / 정민혁 기자 jmh8997@speconomy.com 

 

저작권자 © 스페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