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경제=선다혜 기자]LG화학과 SK이노베이션의 법적 분쟁이 계속되고 있는 가운데, 중국 배터리 업체들이 이를 인력 탈취 시도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에 이를 차단하기 위한 종합적인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3일 한국무역협회가 발간한 ‘중국, 인재의 블랙홀’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 정부는 지난 2015년붵 사업고도화 추진 전략인 ‘중국 제조 2025’를 추진하면서 해외 우수 인재 유치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에 일환으로 중국 기업들은 파격적인 조건으로 한국 인력들을 유치하고 있다.

대표적인 업종으로는 배터리를 비롯한 반도체 항공 등이었다. 배터리의 경우 세계 1위 기업인 CATL이 지난 7월 대규모 채용을 진행하면서, 한국 인재들을 대상으로 기존 연봉에 3~4배를 제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전기차 기업인 비야디(BYD) 역시 연봉 외에 자동차, 숙소 등의 조건을 제공하면서 한국 인재 채용을 실시했다.

중국 최대 부동산그룹 헝다도 올해 초 신에너지차 기업을 설립하면서 8천여명의 글로벌 인재를 채용했다. 이 중에서는 한국, 일본, 독일, 스웨덴 등 9개국 출신 경력자를 우대한다고 밝힌 바 있다.

이에 보고서는 글로벌 시장 진출을 본격화하고 있는 중국 배터리 업체들인 인재 확보에 총력을 기울이면서 한국 인재들이 타깃이 되고 있다고 밝혔다. 특히 최근 SK이노베이션과 LG화학이 인재 유출 문제로 법적인 다툼을 벌이고 있는 사이를 틈타서 한국 전문 인력을 노리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러한 상황은 반도체 업종 역시도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다. 푸젠진화(JHICC)는 올 4월 인력 채용 공고하면서 10년 이상 삼성전자·SK하이닉스에서 엔지니어로 근무한 경력자 우대를 명시하면서 인력 빼가기를 노골화했다.

실제로 삼성전자는 지난해 중국 반도체 업체로 이직한 D램 설계 담당 전 임원에 대한 전직금지 가처분 소송을 제기한 바 있다. 해당 임원은 반도체 산업 발전 기여를 공로 받아서 2015년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표창장을 받았던 인물이다.

보고서는 반도체 인력 유출 통계는 제대로 파악되지 않고 있다는 점도 지적했다. 국내 기업들이 인력 빼내기를 막기 위해서 법적인 소송을 제기하자 최근 중국 기업들은 이를 피하기 위해서 투자회사나 자회사에 취업시키는 형식으로 한국 인재들을 영입하고 있기 때문이다.

또 항공 업계의 경우는 지난 2014년부터 올 7월까지 한국에서 460여명의 조종사가 외국 항공사로 이직했는데, 이 가운데 최소 367명(80%)이 중국 항공사로 간 것으로 집계됐다.

이에 보고서는 “배터리와 반도체 산업의 고급인력 유출은 기술 경쟁력 약화를 초래하고, 항공 산업은 안전성 저해, 신규노선 개척 어려움 등의 문제점을 발생시킬 수 있다”면서 “인력 유출 방지와 인재 유치에 대한 장기적인 정책 지원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스페셜경제 / 선다혜 기자 a40662@speconomy.com 

<사진제공 뉴시스>

저작권자 © 스페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