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경제=김다정 기자]달걀 산란일자 의무표기가 시행된 지 3개월이 다 되어가지만, 여전히 일부 매장에서는 산란일자가 표기된 계란을 찾아보기 힘든 것으로 나타났다.

20일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에 따르면, 지난달 18~19일 서울과 경기도에 있는 대형마트와 기업형 슈퍼마켓(SSM), 일반 슈퍼마켓, 백화점 총 387곳을 대상으로 한 산란일자 표시 실태 조사에서 전체 71.1%에 해당하는 275곳에서만 산란일자를 표시하고 있었다.

계란 30구를 판매하는 업체 중 대형마트(71곳)와 백화점(11곳)에서는 시행률이 100%였고, 기업형 슈퍼마켓도 91.4%로 비교적 높은 편이었다.

그러나 일반 슈퍼마켓의 경우 시행률이 평균보다 낮은 50.9%에 불과했다.

특히 농협이 운영하는 매장에서 판매하는 제품 10개 중 3~4개꼴로 산란일자를 표시하지 않을 것으로 드러났다.

농협이 운영하는 하나로클럽, 하나로마트에서 파는 23개의 달걀 제품 중 15개(65.2%) 제품만이 의무표기를 시행했다.

소비자단체협의회 관계자는 “달걀 껍데기에 산란일자를 표시하는 것은 소비자의 먹거리 안전성을 지켜주는 첫 단추”라며 “남은 계도기간 동안 소비자·생산업계·유통업계 모두 상생방안을 내놓아야 한다”고 말했다.

앞서 지난 2월23일부터 농림축산식품부와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소비자의 알 권리와 선택권을 위해 달걀 생산 날짜를 소비자가 알기 쉽도록 달걀 껍데기에 산란 일자 표기를 의무화 했다.

다만 농가 등 생산 현장과 유통업계의 적응 기간을 고려해 시행 후 6개월간 계도기간을 거쳐 개선이 필요한 부분에 대해 보완 조치를 할 예정이다.

그러나 일반 슈퍼마켓 등에서는 산란일자 표기가 정착되지 않으면서 양계업계와 소비자들의 혼란은 가중되고 있다.

소비자단체협의회 관계자는 “농가 및 달걀 수집판매업체 등이 눈앞의 이익에만 급급해 6개월의 계도기간을 시간끌기로 가는 것은 아닌지 우려가 앞선다”고 지적했다.

[사진제공=뉴시스]

스페셜경제 / 김다정 기자 92ddang@speconomy.com 

 

저작권자 © 스페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