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경제=홍찬영 기자]한국 기업이 물류와 인프라, 농업 등의 분야를 중점 투자하면서 여타 지역으로 단계적 접근을 해야 아세안 시장에 효과적으로 진출할 수 있다는 분석결과가 나왔다.

19일 한국무역협회는 이같은 내용을 담은 ‘신남방지역 무역 및 서비스 분야 진출 전략’ 보고서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한국 기업이 아세안 시장에 우선적으로 진출할 유망 국가와 분야로 ▲인도네시아(물류) ▲베트남(도시 인프라) ▲미얀마(농업) ▲말레이시아(소비재) ▲태국(모바일 콘텐츠)을 꼽혔다.

보고서는 “아세안이 세계 국내총생산(GDP)의 3.4%, 세계 교역량의 7.3%를 차지하는 거대 시장으로 발돋움하면서 한국을 비롯한 주요 국가들이 협력을 강화하고 있다”며 “한·중·일 3국이 아세안 시장에서도 경쟁하는 가운데 한국은 회원국별 상이한 경제 상황과 협력 수요를 고려해 거점국과 랜드마크 사업을 우선적으로 선정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인도네시아의 경우 조코 위도도 정부가 연임에 성공하면서 1기에 추진하던 물류 인프라 개선 정책이 지속적으로 강화될 전망이다. 물류분야에서 우수한 경쟁력을 확보 중인 한국 기업은 현지 정책을 활용해 자원 물류, 프로젝트(건설) 물류, 냉장운송 등의 분야에 진출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베트남은 최근 인구의 도시 유입이 크게 늘고 칸토, 하이퐁, 다낭 등 새로운 거점도시가 생겨나면서 국가 차원에서 도시 인프라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미얀마의 경우 농업이 국내총생산의 18%, 수출의 21%를 차지할 정도로 중요한 산업인 만큼 미얀마 농가와 협업해 현지 토양, 작물 특성, 농촌 수요를 반영한 맞춤형 농업 투입재를 개발할 필요가 요구된다.

말레이시아는 아세안의 대표 프리미엄 시장이자 할랄 시장으로 꼽힌다. 이 소비재 시장을 공략하기 위해서는 국가 브랜드 제고를 통한 한국 제품의 이미지 업그레이드, 소비 그룹별 타깃팅 전략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됐다.

태국은 동남아 국가 중 4세대 이동통신(4G) 네트워크 접근성이 가장 좋은 국가로 모바일 콘텐츠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이에 언어, 결제방식을 현지화하고 급변하는 트렌드를 따라잡는 실시간 시장조사가 선행돼야 한다.

무역협회는 "거점국가에 성공적으로 진출한 이후에는 개별 국가에 맞는 현지화 전략을 통해 아세안 전역으로 사업을 확장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 “다만 현지의 열악한 인프라 환경, 복잡한 법률 및 행정제도 등을 감안해 우리 정부의 공적개발원조 사업, 문화 외교, 인적 교류 등을 적절하게 활용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스페셜경제 / 홍찬영 기자 home217@speconomy.com 

 

저작권자 © 스페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