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경제=선다혜 기자]13일 이란 외무부가 최근 주이란 한국 대사를 초지(招致)해 “이란산 원유·최경질유 수입 대금을 내놓으라”며 강력 항의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란 중앙은행 등 다른 기관과 부처도 한국 대사를 만나서 “한국이 대금 결제 노력이 부실하다”면서 유감을 표명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같은 이란의 전방위적인 항의에 외교부는 지난달 말 특사단을 꾸려 파견한 것으로 파악됐다. 이런 상황에서 청와대가 지난 12일 이란 앞바다인 호르무즈 해협 파병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발표해 추가 반발도 예상된다. 미·중일과의 관계가 휘청거리는 가운데 대(對)중동 외교에서도 파열음이 나오고 있다.

조선일보의 보도에 따르면 이란 외무부는 지난달 중순 유정현 주이란 한국 대사를 불러 IBK기업·우리은행 계좌에 지난 9년 동안 쌓인 이란 중앙은행 명의의 예금 약 7조원을 조속한 시일 내에 찾을 수 있는 방편을 마련해달라고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해당 계좌의 경우 예금 이율은 제로에 가까워 예치 기간이 길어지면 이란이 손해를 입게 되는 구조다. 이란 외무부 당국자는 “미국의 제재 대상이 아닌 의약품·식료품의 수출입 대슴 결제는 노력만 하면 이행이 가능한데 한국 정부가 제대로 노력하지 않고 있다”고 꼬집었다.

이란 중앙은행, 보건부 관계자들 역시 유 대사와 접촉해 관련 문제를 제기했다. 주한 이란 대사관 측도 최근 외교부 당국자들을 만나 여러차례 각종 문제를 지적했다. 이에 지난달 25~27일 전직 이란 대사인 송응엽 한국국제협력단 이사를 이란에 보냈다.

당시 외교부는 송 이사가 이끄는 사절단을 경제협력 대표단이라고 발표하면서 일반적인 외교 교류인 것처럼 보이게 했다. 송 이사가 실권이 거의 없는 인사라는 점에서 이같은 행보가 이란 정보의 화를 더 돋운 것으로 알려졌다.

외교부 측은 “이란의 입장을 이해한다”면서도 미국의 제재로 인해 이란의 요구를 다 수용할 수는 없다는 입장이다.

유 대사와 송 이사도 이란 당국자들에게 “최근 미국의 제재가 강화돼 한국 기업들과 은행들이 위축된 것”이라고 설명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함께 외교부는 비제재 대상 품목의 수출입 대금 결제는 이뤄지도록 미국 측과 협의하겠다는 의사도 전달했다.

이번 사태는 지난 5월 우리 정부가 미 정부로부터 ‘대이란 제재 예외국’ 자격을 연장하는 데 실패하면서 사실상 예견된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당시 외교부는 한국은 다른 예외국과 달리 비제재 대상인 초경질유만 이란에서 수입해 제재 예외국 연장을 받을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그러나 예외국이 안 되면서 한국 기업과 은행이 미국 제재 여파를 고스란히 받게 돼 한·이란 교역도 사실상 단교 수준에 들어가게 됐다. 기업·우리은행동 이란 중앙은행 명의의 원화 결제계좌를 사실상 동결하며 무역 대금 결제를 중단했다.


여기에 이란과의 갈등은 호르무즈 파병 문제까지 겹치면서 더 악화될 가능성도 있다. 하산 로하니 이란 대통령은 지난 9월말 유엔 총회 연설에서서 “(호르무즈에) 외국 군대가 주둔하면 항해와 석유 유통 관련 안보가 더 위험해진다”면서 미국 등 각국의 호르무즈 파병에 반대했다.

 

스페셜경제 / 선다혜 기자 a40662@speconomy.com

<사진제공 뉴시스>

 

저작권자 © 스페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