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경제=홍찬영 기자]에너지저장장치(ESS)의 화재 원인을 두고 잡음이 끊이지 않는 가운데, 삼성과 LG화학이 화재 대비에 대한 강구책을 내놨다.

하지만 아직 화재 원인도 명확히 밝혀지지 않은 상황에서, 이같은 선제 조치가 과연 효용성이 있을지에 대해서는 미지수라는 지적도 나온다.

15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SDI는 최근 잇따르고 있는 에너지저장시스템(ESS) 화재를 근절하기 위해 배터리 모듈 내에 특수 소화시스템을 도입하고 외부 고전류·고전압 차단용 3종 안전장치 구축에 나섰다.

삼성SDI 관계자는 “비록 자사의 배터리가 화재의 원인은 아닌 것으로 밝혀졌지만 최근 잇따르고 있는 ESS화재로 인해 국민과 고객을 불안하게 해서는 안된다는 최고경영진의 강력한 의지로 이번 고강도 안전 대책을 마련했다”고 말했다.

LG화학도 최근 외부의 전기충격으로부터 배터리를 보호하기 위해 모듈퓨즈, 서지 프로텍터, 랙퓨즈 등의 안전장치를 설치했다. 이외에도 실시간 모니터링, 절연저항 상태 수치화 등이 가능한 장치인 IMD를 설치해 안정성을 강화했다.

이와 함께 설치업체에 대한 교육을 실시하고 있으며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통해 안전성을 강화하기 위한 조치도 함께 진행했다고 회사 측은 전했다.

LG화학 관계자는 “안전성 강화 조치와 함께 정확한 원인을 파악해 동일한 이슈가 없도록 화재 위험을 예방하고, 실사용자의 추가적인 피해를 없애고자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전했다.

하지만 이처럼 삼성SDI와 LG화학이 잇따라 안전대책을 세웠음에도 불구하고 명확한 화재 원인은 여전히 밝혀지지 않아 이는 근본적인 대책이 될 수 없다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앞서 지난 6월 산업부는 ESS 화재원인으로 몇 가지 요인을 지적하고 안전 관리 강화대책을 발표한 바 있다. 당시 산업부는 해당 배터리를 화재의 직접적인 요인으로 지목하지 않았다. 하지만 이후에도 같은 제품에서 불이 나면서 배터리 결함 의혹이 제기되자 뒤늦은 조치에 들어갔다.

이와 관련 지난 7일 열린 국감에서 이용주 무소속 의원은 “ESS 화재사고 조사위원회의 발화원인 조사 내용이 너무 부실했다”며 “발화 원인도 미상으로 나와 있는데 원인을 몰라 대책도 못 세우는 것 아니냐”고 비판한 바 있다.

한편 지난 2017년 8월부터 발생한 ESS 화재 사고는 총 26건으로 집계됐는데 특히 이중 절반이상이 LG화학 제품인 것으로 확인됐다.

LG화학은 이날 ‘ESS 안전성 강화와 화재 원인 규명’ 관련 자료를 내놓고 확산 위험성을 차단하는 제품 출시를 준비 하겠다는 입장을 취했다.

 

[사진제공=뉴시스]

 

스페셜경제 / 홍찬영 기자 home217@speconomy.com 

저작권자 © 스페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