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경제=선다혜 기자]탈원전 정책으로 ‘일감 부족’에 시달리던 두산중공업이 실적 악화로 인해 결국 구조조정에 들어갔다.

18일 두산중공업은 만 45세 이상 직원들을 대상으로 20일부터 오는 3월 4일까지 명예퇴직 신청을 받겠다고 공지했다. 이번 명예퇴직 대상인 45세 이상 지원은 전 사업 부문에 걸쳐 2600명 가량이다. 두산중공업은 신청자에게 근속연수에 따라 법정 퇴직금 외에 월급의 최대 2년 치를 지급하고, 20년차 이상 직원에게는 위로금 5천만원을 추가로 지급하기로 했다. 또한 최대 4년간 자녀의 학자금, 경조사, 건강건진비용 등을 제공하기로 했다.

두산중공업은 계속된 영업 악화를 극복하기 위해서 사업조정이나 유급휴직 등 다양한 시도를 해왔지만 더 이상은 견디기가 어렵다고 판단하고 ‘인력감축’을 선택한 것이다. 이러한 두산중공업의 인력 구조조정은 결국 핵심 수익원인 원자력발전 사업이 붕괴한 것 때문이다. 정부의 탈원전 정책으로 두산중공업은 수주절벽에 내몰리게 됐다.

두산중공업은 신한울 3‧4호기를 포함한 신규 원전 6기 건설이 백지화된 이후, 글로벌 시장에서도 신뢰도가 하락하면서 수출시장에서도 어려움을 겪고 있다. 실제로 두산중공업에 따르면 수주잔액은 지난 2018년 16조 4000억원에서 지난해 3‧4분기 14조 6000억원으로 하락했다. 탈원전 정책이 가시화된 이후부터 일감이 끊긴 것이다.

원전 공장 가동률 역시 2017년 100%에서 2019년 50%로 하락했다. 신고리 원전 5‧6호기 등에 대한 기자재 납품이 마무리되는 올해는 10% 미만까지 하락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여기에 더해 한울 3‧4호기 건설 취소에 따른 손실 부담 역시도 만만치 않은 상황이다.

원전 주기기(원자로‧증기발생기‧터빈발전기) 제작에 투입도니 비용 5000억원을 비롯한 투자금, 기자재 보관비용까지 합하면 매몰비용이 최소 7000억원에 이를 것으로 추산된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두산중공업의 핵심 인력들도 회사를 많이 떠난 것으로 알려졌다. 2016년 7057억원에 달했던 직원 수는 지난해 말 기준 6000명대로 줄어들었다. 협력업체들도 고사 위기에 몰렸으며, 53개 사내 협력업체의 인력은 2016년 1171명에서 2018년 1002명으로 감소했다. 경남도 내 280여개 중소 원전 협력업체도 일감이 없는 상황이다.

이와 관련해 두산중공업 관계자는 “어려운 사업 환경을 타개하기 위해서 임원 감축, 유급순환휴직, 계열사 전출, 부서 전환 배치 등 강도 높은 고정비 절감 노력을 해왔지만 경영 정상화 과정에서 인력 구조 재편이 불가피한 상황에 이르렀다”면서 “안타깝지만 현재로서는 명예퇴직을 통해 재구구조를 개선하는 것 외에는 방법이 없다”고 설명했다.

한편, 두산중공업은 새로운 일감으로 소형모듈원전(SMR) 수출을 비롯해 가스터빈시장으로 눈을 돌리고 있다. 2017년 말 발표된 8차 전력수급기본계획과 노후 복합발전소, 석탄발전소 리파워딩을 고려하면 오는 2030년까지 국내 가스터빈이 필요한 복합발전소 신규 건설 규모는 20GW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스페셜경제 / 선다혜 기자 a40662@speconomy.com

<사진제공 뉴시스>

 

저작권자 © 스페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