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경제=선다혜 기자]지난달 31일(현지시간) 미국 뉴역에서 진행된 국내 최대 게입업체 넥슨 매각에 대한 인수 후보자들의 제안서 접수가 마무리됐다. 국내 넷마블‧카카오와 국내외 사모펀드를 포함해 총 5곳에 제안서를 냈지만, 관심을 끌었던 중국 텐센트와 미국 월트디즈니 제안서를 내지 않고 관망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넥슨의 매각 예상가는 10조원을 웃돌 가능성이 크다. 국내 넷마블‧카카오와 국내외 사모펀드를 포함해 총 5곳이 제안서를 냈지만, 관심을 끌었던 중국 텐센트와 미국 월트디즈니는 제안서를 내지 않았다. 

2일 게임업계와 IB(투자은행) 업계에 따르면 매각주관사인 독일 도이치증권과 스위스 UBS는 지난달 31일 뉴욕에서 카카오‧넷마블과 국내 사모펀드 MBK파트너스, 미국 사모펀드 콜버그크래비스로버츠(KKR)·베인캐피털로부터 인수 제안서를 접수했다. 

매각 주관사는 지난 2월부터 이 5곳과 인수조건‧가격을 두고 개별 협의를 진행해왔다. 그 사이 김정주 NXC(넥슨의 지주사) 대표 겸 넥슨 창업자는 미국 디즈니·아마존, 중국 텐센트 등을 방문해 인수전 참여 의향을 타진해왔다. 

사실 넥슨 매각은 올해 1월 공식화됐지만, 그동안 지지부진한 상태를 면하지 못했다. 첫 절차인 인수제안서 접수 일정도 3~4차례 연기됐다. 인수하는 기업과 매각하는 기업 간의 인식 차이가 컸던 것이 매각에 발목을 잡았다. 

앞서 김 대표는 당초 자신과 아내 유정현씨, 개인회사 와이즈키즈가 보유한 NXC 지분 전량(98.64%)을 15조원 이상을 받고 넘기려고 했다. NXC는 도쿄 증시에서 장상된 넥슨의 최대주주로서 지분을 47.6%나 보유하고 있다. 

넥슨의 경우 지난해 순이익이 1조원대인데다가, 현금성 자산도 약 40억달러(약 4조 7500억원)정도 보유하고 있다. 넥슨 가치를 순이익의 20~25배 정도로 상정하고 경영권 프리미엄을 고려한 것이다. 여기다 더해 NXC가 보유한 다른 기업의 가치 종합도 조 단위로 본 것으로 알려졌다. 

그럼에도 인수 희망자들은 여전히 10조원 안팎을 고수하고 있다. 도쿄 증시에서 현재 넥슨 주가는 1617엔(약 1만 7715원)으로, 시총은 1조 4500억엔(약 15조 8859억원) 가량이다. NXC가 보유한 넥슨 주식의 평가액은 약 7조 9000억원이기 때문에 경영권 프리미엄을 감안해도 15조원은 너무 비싸다는 지적이다. 

이와 관련해 한 게임업계 관계자는 “넥슨의 영업이익은 매우 크지만, 던전애파이터는 단일 게임의 매출 의조도가 너무 크기 때문에 이러한 불안 요소도 감안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지난해 넥슨 매출은 2조 5296억원 중 던전앤파이터의 비중은 40%나 차지했다. 또한 던파가 의존하고 있는 중국 시장이 게임에 대해서 각종 규제를 하고 있는 것도 악재로 꼽히고 있다. 

또한 인수하는 기업들 입장에서는 중국에서 던파의 인기는 앞으로 10년은 더 유지될 것으로 예상되지만, 그것만 보고 15조원을 지불하기는 불안 요소가 너무 많다. 

이 때문에 넥슨 매각 관련해서 인수 희망자들은 정보 유출에 매우 민감해진 상황이다. 카카오와 넷마블은 부사장급 이상 최고경영자 회의에서도 인수 관련 논의를 일정 진해하지 않고 있다. 뿐만 아니라 사모펀드 역시 보안에 매우 신경쓰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심지어 매각 주관사인 도이치증권 역시도 넥슨 매각팀의 소속원들이 다른 직원들에 관련 정보 공유를 차단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한편, 업계는 인수전의 막판 변수가 중국 텐센트라고 입을 모으고 있다. 현실적으로 매각 대금 10조원 이상을 단일 후보자가 끌어오기는 매우 힘들기 때문이다. 더욱이 텐센트의 경우 넥슨의 던파 중국 서비스를 맡고 있으며, 카카오(17.7%)와 넷마블(6.7%)의 대주주이기도 하다. 

게임 업계에서는 “카카오나 넷마블이 동원 가능한 현금은 한계가 있는 데다가 사모펀드도 선뜻 10조원 이상을 내지는 않을 것”이라며 “넥슨이 중국 자본에 팔릴 가능성이 꽤 있는 셈”이라고 내다봤다.

 

스페셜경제 / 선다혜 기자 a40662@speconomy.com

<사진제공 뉴시스> 

저작권자 © 스페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